[27호]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를 위한 시스템 표준화 대응방향과 추진전략 대표이미지

[27호] 디지털 전환의 가속화를 위한 시스템 표준화 대응방향과 추진전략

저자 : 이상동 센터장, 박수진 연구원

발간일 : 2018.11.29
조회수 : 1795

개요

디지털 전환은 산업과 사회를 초연결화, 초지능화, 초자동화, 초융합화로 이끌고 있다. 디지털 전환의 연결과 상호운용성을 위한 시스템 표준화를 도입하고 향후 우리나라가 추진해야 할 전략분야의 표준화 대응방향과 표준화 전략맵을 제시한다.

주요 요지

ㅇ (디지털경제)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혁신 프레임을 제시하고 기존 비즈니스의 프로세스, 제품 및 서비스와 연계된 가치사슬의 재구조화가 요구


ㅇ (디지털전략) 새로운 수익과 가치를 제고하는 비즈니스로 전환하는 프로세스라고 정의하고, 디지털 리더십(목표)을 선점하기 위해서 사회 전반적 디지털 전환(전략수립)을 기획하고, 분야별 디지털화(분야별 실행)를 추진


ㅇ (뉴패러다임) 핵심기술 개발의 가속화와 기술 융합의 증가로 국제표준화의 새로운 협력방식으로 ‘시스템 접근법(system approach)’제시


ㅇ (시스템작업) 국제표준화기구(IEC)에서는 시스템 표준을 도입하여 3개 활동 그룹 즉, 표준화평가그룹(SEG), 시스템위원회(SyC), 시스템자원그룹(SRG)을 운영


ㅇ (주요국 벤치마킹) 주요국(미국, 유럽연합, 독일, 일본, 중국)의 표준화 전략을 벤치마킹하여, 디지털 전환 등 4차 산업혁명의 기술변화 특징을 반영한 표준화 핵심 분야를 도출하고 이의 해결방안 제시


ㅇ (표준화 추진전략) ① 선택과 집중을 통한 사업 전략성 강화(전략분야선정),② 개방형 협력․연계로 사업 운영 효율성 증대(컨소시엄 참여), ③ 표준 활용 및 확산 지원체계 활성화(산업계 참여 필수)의 3가지 방향 설정


ㅇ (표준화 전략분야) 기술분야별 정책적 당위성(정부주도 필요성, 정부지원시급성), 성공가능성(잠재수요, 보유역량), 파급효과(과학기술적, 경제사회적)에 관한 평가항목을 선정, 전문가 평가를 통해 15대 전략분야 선정


ㅇ (차세대 표준화) 4차 산업혁명을 준비하는 우리나라의 차세대 표준화 방향은 국가 R&D 과제 수행에 있어 기존 ‘개별 요소기술’ 관점에서 다양한 기술 간 인과 관계를 고려한‘시스템 표준화’활동으로의 전략 수정 필요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