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금탑산업훈장
유양석㈜서연이화 회장
끊임없는 혁신과 최고의 기술력으로 글로벌 모빌리티 미래를 선도하다

- 2023 자동차산업발전유공 경제부총리표창
- 2022 K-ESG 경영대상
- 2017 올해의 중견기업 대상 해외진출부문 산업통상부장관표창
- 2016 대한민국 경제리더 대상 미래경영 부문
- 2014 한국을 빛낸 창조경영 대상
- 2012 국가품질경영대회 대통령 표창
제51회 국가품질경영대회에서 금탑산업훈장 수훈은 서연이화가 추구해 온 ‘품질로 성장하는 기업’의 여정을 인정받은 뜻깊은 순간입니다. 이번 영예는 개인의 성취가 아니라 서연이화 전 임직원이 한마음으로 품질혁신과 기술 발전에 매진해 온 결실이라 생각합니다. 서연이화는 ‘최고 수준의 인재를 바탕으로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창출하여 인류의 행복에 기여한다.’라는 철학 아래 고객 신뢰를 최우선으로 삼아왔습니다. 글로벌 시장 속에서도 완벽한 품질과 친환경 생산 체계를 구현하며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의 경쟁력 강화를 실현해오고 있습니다. 이번 수상을 계기로 서연이화는 친환경 소재, 경량화, 미래 모빌리티 분야의 혁신을 더욱 가속화하고, 협력사 및 지역사회와 함께 성장하는 지속가능한 경영을 실천하겠습니다.
유양석 회장은 2016년 서연이화 회장 취임이래 회장으로서의 역할 및 자문, 감사, 경영을 총괄하며 서연이화가 글로벌 100대 자동차 부품사로 도약하는 데 핵심적인 업무를 수행해 왔다. 또한, 지역사회와의 상생 실현을 위해 노사 봉사활동 및 사회 공헌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2024년에는 울산광역시장상 및 북구청장상 등을 수상함으로써 국가 경제 발전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를 하며 사회 공헌 공로를 인정받았다.
글로벌 자동차 부품사 도약으로 국제 경쟁력 제고
서연이화는 2025년 미국 자동차 전문지 ‘오토모티브 뉴스’가 발표 한 글로벌 100대 자동차 부품사 순위에서 79위에 선정되어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과 브랜드 위상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글로벌 완 성차 브랜드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제품 개발과 품질 혁신, 현지 생 산 네트워크 강화 전략으로 글로벌 탑티어 공급사로의 도약을 실현 했다. 또한,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 및 수출 확대 에도 크게 기여하고, 기술 중심의 품질경영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 에서 K-부품 산업의 위상을 선도했다. 전 세계 10여 개국에 23개 법인, 45개 생산공장을 구축해 현대자동차 및 기아, 폭스바겐, 벤츠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부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국내 부품 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 고용 창출, 기술 확산에 앞장서고 있다. 미국, 중국, 인도 등지 R&D 센터에서 현지 맞춤형 기술 개발과 기술 일관 성 확보를 실현하고 있다.
친환경 기술 선도를 통한 글로벌 기술경쟁력 강화
서연이화는 재활용 수지를 활용한 샌드위치 성형 기술과 폐 자동차 처리지침(ELV) 대응 내장재, 셀룰로오스 복합수지 개발 등으로 친 환경성·경량화·내구성 향상을 동시에 달성하며 국가 신기술(NET) 을 인증받았다. 특히 국내 최초로 PP 소재를 적용한 배터리 캐리어 는 금속 소재의 한계에서 벗어나 전기차 산업의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했다. 더불어 폐기 원단(TPO) 및 재활용 올레핀 수지 등의 자원순환형 신소재 개발로 원재료 비용 절감과 온실가스 감축 성과 를 이뤘다. 또한, 제조 공정의 스마트팩토리 고도화에 주력하기 위해 레이저 스캔 기반 갭·단차 검사와 AI 비전 검사 기술을 도입해 품질 관리를 자동화하고, 가조립 및 적입 자동화 시스템으로 무인 공 정 기술을 확보했다. 자율주행이송로봇(AMR)을 적용해 물류 효율 성과 안정성 향상, AI 기반 배터리 자동 교환 시스템(RPS) 도입으로 공정 중단 없는 무인 물류 운용을 실현했다. 고 있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ESG경영 강화와 성과
서연이화는 ‘친환경 중심의 경영 혁신, 사회를 위한 책임 경영 내재화, 투명성과 효율성 제고’라는 경영 지향점을 기준으로 추진 전략 체계를 수립하여 ESG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된 ESG 위원회를 운영하며, ESG경영에 대한 의지와 주요 성과 등을 홈페이지 및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등을 통해 공개하고 있다. 환경 부문에서는 탄소중립 실현과 친환경 기술 확대 추진, 사회 부문에서는 포용적 성장과 지역·협력사와의 상생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배구조 부문에서는 감사위원회·ESG위원회 등을 운영하며 독립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 결과 한국ESG기준원(KCGS) 평가에서 종 합등급 B+, 사회 부문에서는 4년 연속 A등급을 달성하는 등 ESG경 영 체계의 안정성과 우수성이 입증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유양석 회장은 2016년 서연이화 회장 취임이래 회장으로서의 역할 및 자문, 감사, 경영을 총괄하며 서연이화가 글로벌 100대 자동차 부품사로 도약하는 데 핵심적인 업무를 수행해 왔다. 또한, 지역사회와의 상생 실현을 위해 노사 봉사활동 및 사회 공헌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2024년에는 울산광역시장상 및 북구청장상 등을 수상함으로써 국가 경제 발전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크게 이바지를 하며 사회 공헌 공로를 인정받았다.
글로벌 자동차 부품사 도약으로 국제 경쟁력 제고
서연이화는 2025년 미국 자동차 전문지 ‘오토모티브 뉴스’가 발표 한 글로벌 100대 자동차 부품사 순위에서 79위에 선정되어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과 브랜드 위상을 다시 한번 입증했다. 글로벌 완 성차 브랜드를 대상으로 한 맞춤형 제품 개발과 품질 혁신, 현지 생 산 네트워크 강화 전략으로 글로벌 탑티어 공급사로의 도약을 실현 했다. 또한, 대한민국 자동차 산업의 국제 경쟁력 제고 및 수출 확대 에도 크게 기여하고, 기술 중심의 품질경영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 에서 K-부품 산업의 위상을 선도했다. 전 세계 10여 개국에 23개 법인, 45개 생산공장을 구축해 현대자동차 및 기아, 폭스바겐, 벤츠 등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 부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국내 부품 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 고용 창출, 기술 확산에 앞장서고 있다. 미국, 중국, 인도 등지 R&D 센터에서 현지 맞춤형 기술 개발과 기술 일관 성 확보를 실현하고 있다.
친환경 기술 선도를 통한 글로벌 기술경쟁력 강화
서연이화는 재활용 수지를 활용한 샌드위치 성형 기술과 폐 자동차 처리지침(ELV) 대응 내장재, 셀룰로오스 복합수지 개발 등으로 친 환경성·경량화·내구성 향상을 동시에 달성하며 국가 신기술(NET) 을 인증받았다. 특히 국내 최초로 PP 소재를 적용한 배터리 캐리어 는 금속 소재의 한계에서 벗어나 전기차 산업의 기술 경쟁력 확보에 기여했다. 더불어 폐기 원단(TPO) 및 재활용 올레핀 수지 등의 자원순환형 신소재 개발로 원재료 비용 절감과 온실가스 감축 성과 를 이뤘다. 또한, 제조 공정의 스마트팩토리 고도화에 주력하기 위해 레이저 스캔 기반 갭·단차 검사와 AI 비전 검사 기술을 도입해 품질 관리를 자동화하고, 가조립 및 적입 자동화 시스템으로 무인 공 정 기술을 확보했다. 자율주행이송로봇(AMR)을 적용해 물류 효율 성과 안정성 향상, AI 기반 배터리 자동 교환 시스템(RPS) 도입으로 공정 중단 없는 무인 물류 운용을 실현했다. 고 있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향한 ESG경영 강화와 성과
서연이화는 ‘친환경 중심의 경영 혁신, 사회를 위한 책임 경영 내재화, 투명성과 효율성 제고’라는 경영 지향점을 기준으로 추진 전략 체계를 수립하여 ESG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된 ESG 위원회를 운영하며, ESG경영에 대한 의지와 주요 성과 등을 홈페이지 및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등을 통해 공개하고 있다. 환경 부문에서는 탄소중립 실현과 친환경 기술 확대 추진, 사회 부문에서는 포용적 성장과 지역·협력사와의 상생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지배구조 부문에서는 감사위원회·ESG위원회 등을 운영하며 독립성과 투명성을 확보하고 있다. 그 결과 한국ESG기준원(KCGS) 평가에서 종 합등급 B+, 사회 부문에서는 4년 연속 A등급을 달성하는 등 ESG경 영 체계의 안정성과 우수성이 입증되는 성과를 거두고 있다.
추진성과
| 구 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매출액(억 원) | 28,453 | 35,743 | 40,415 |
| 자산총액(억 원) | 19,303 | 23,579 | 29,538 |
| R&D투자비율(%) | 3.4 | 3.1 | 3.4 |
| 산업재산권(누계, 건) | 1,855 | 2,015 | 2,10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