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철탑산업훈장
정종표 DB손해보험㈜ 대표이사 사장
글로벌 혁신과 신뢰경영으로 금융의 미래를 열다

- 2023 국가품질혁신상 디지털전환부문 대통령표창
- 2023 DB손해보험㈜ 대표이사
- 2020 DB손해보험㈜ 개인사업부문장
- 2015 동부화재(現 DB손해보험) 법인사업부문장
- 2004 근로자의 날 국무총리표창
- 1987 한국자동차보험(現 DB손해보험) 입사
2025년 제51회 국가품질경영대회에서 철탑산업훈장을 수훈하게 되어 진심으로 영광으로 생각합니다. 이번 영예는 ‘고객과 함께 행복한 사회’를 만들겠다는 신념 아래, 대한민국 최고의 손해보험사를 넘어 글로벌 보험·금융그룹으로의 성장을 위해 끊임없이 품질혁신에 매진해 온 DB손해보험 전 임직원의 헌신 덕분이라고 생각합니다. DB손해보험은 금융서비스 산업에서 품질경영의 역사를 개척·선도해 왔습니다. 앞으로도 고객 중심의 품질혁신을 통해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끌며, 일천이백만 고객은 물론, 국민 모두가 신뢰하고 찾는 보험회사로서, 더욱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서비스 제공을 통해 성원에 보답하겠습니다.
정종표 대표이사는 DB손해보험의 전신인 한국자동차보험㈜에 입사하여 37년간 현장을 기반으로 성장한 전문경영인으로, 2023년 대표이사로 취임한 이후 실상추구, 자율경영, 상호소통의 원칙을 중심으로 한 실질적인 품질혁신체계를 확립했다. 특히 ‘고객에게 최고의 품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험사’라는 목표 아래, 품질경영을 기업문화로 정착시키는 것에 주력하고 있다. 그 결과 연평균 11.2% 성장하는 견조한 경영성과를 달성했으며, 대한민국 금융서비스 산업의 품질혁신 패러다임을 새롭게 정립했다.
글로벌 확장을 통한 보험산업의 질적 성장
DB손해보험은 1962년 한국자동차보험공영사로 출범하였으며, 1984년 괌 지점을 개설하며 해외 사업의 첫걸음을 내디뎠다. 현재는 미주지역 내 4개 지점(괌, 하와이, 캘리포니아, 뉴욕)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외 10개 주에 사업면허를 보유하고 있다. 2024년 말 기준 미주지역 매출은 511.3백만 달러로 성장했으며, 2025년에는 국내 보험사 최초로 미국 현지 보험사 ‘포테그라’ 인수를 성사시켜 글로벌 초우량 보험금융그룹으로의 도약을 본격화했다. 한편, 2013년 중국 충칭 안청보험사에 전략적 지분투자를 단행하여 공동 상품 개발과 현지 맞춤형 보험 서비스를 강화했고, 2015년에는 국내 손해보험사 최초로 베트남 PTI사 인수 이후 2개사를 추가 인수하면서 영업망을 확대하고, 디지털 상품 설계 및 채널 관리 체계를 현지에 이식해 품질 경쟁력을 강화했다. 이 밖에 인도네시아·미얀마에 사무소를 개설하는 등 인도차이나반도 중심의 글로벌 보험망을 구축했다.
품질혁신의 역사와 금융 서비스 선진화
DB손해보험의 품질혁신 역사는 ‘최초’의 연속이라 할 수 있다. 1976년 차주배상책임보험, 1980년대에는 장기운전자복지보험을 국내 최초 출시했으며, 1998년에는 보상서비스 품질보증제도를 업계 최초로 도입해 서비스 품질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AI 비서시스템 도입 후에는 보험설계 자동화로 연간 65.5억 원의 비용 절감을 달성했고, 화면 미러링 기술을 활용한 텔레마케팅 간소화 서비스는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받아 약 130억 원의 재무효과를 창출했다. 또한 자동차 수리비 비교견적 플랫폼을 업계 최초로 구축하여 과잉수리 방지와 고객 피해 예방에 기여했다. DB손해보험은 2023년 미국 신용평가사 A.M. Best로부터 A+ 등급을, 2024년에는 S&P로부터 동일 등급을 획득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신뢰성을 인정받았으며, 앞으로도 AI·빅데이터 기반 리스크 관리 체계를 지속 고도화하여 금융 서비스 전반의 품질 경쟁력을 선도할 계획이다.
소통과 책임경영으로 신뢰받는 생활 인프라 기업
DB손해보험은 고객 의견 실시간 반영을 위해 고객총괄책임자 조직을 신설하고, 소비자 평가단 운영과 고객 불만 관리체계를 강화해 2023년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보호 실태 평가 전 항목 ‘양호’ 등급을 획득했다. 직원 제안제도를 활성화해 연간 1만 건 가까운 아이디어가 등록되고, 약 1,000명의 임직원·영업가족과 직접 소통이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의견을 현장 중심으로 반영하고 있다. 또한, ‘안전과 회복의 사회 시스템’이라는 역할 실천을 위해 ESG 경영을 강화하고, 전국 초등학교에 옐로카펫 설치, 금융교육과 환경콘서트 등 사회 공헌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23년간 KBS 119상 후원, 희귀질 환자 치료비 지원 등으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며 국민의 안전과 행복을 지키는 생활 인프라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정종표 대표이사는 DB손해보험의 전신인 한국자동차보험㈜에 입사하여 37년간 현장을 기반으로 성장한 전문경영인으로, 2023년 대표이사로 취임한 이후 실상추구, 자율경영, 상호소통의 원칙을 중심으로 한 실질적인 품질혁신체계를 확립했다. 특히 ‘고객에게 최고의 품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험사’라는 목표 아래, 품질경영을 기업문화로 정착시키는 것에 주력하고 있다. 그 결과 연평균 11.2% 성장하는 견조한 경영성과를 달성했으며, 대한민국 금융서비스 산업의 품질혁신 패러다임을 새롭게 정립했다.
글로벌 확장을 통한 보험산업의 질적 성장
DB손해보험은 1962년 한국자동차보험공영사로 출범하였으며, 1984년 괌 지점을 개설하며 해외 사업의 첫걸음을 내디뎠다. 현재는 미주지역 내 4개 지점(괌, 하와이, 캘리포니아, 뉴욕)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외 10개 주에 사업면허를 보유하고 있다. 2024년 말 기준 미주지역 매출은 511.3백만 달러로 성장했으며, 2025년에는 국내 보험사 최초로 미국 현지 보험사 ‘포테그라’ 인수를 성사시켜 글로벌 초우량 보험금융그룹으로의 도약을 본격화했다. 한편, 2013년 중국 충칭 안청보험사에 전략적 지분투자를 단행하여 공동 상품 개발과 현지 맞춤형 보험 서비스를 강화했고, 2015년에는 국내 손해보험사 최초로 베트남 PTI사 인수 이후 2개사를 추가 인수하면서 영업망을 확대하고, 디지털 상품 설계 및 채널 관리 체계를 현지에 이식해 품질 경쟁력을 강화했다. 이 밖에 인도네시아·미얀마에 사무소를 개설하는 등 인도차이나반도 중심의 글로벌 보험망을 구축했다.
품질혁신의 역사와 금융 서비스 선진화
DB손해보험의 품질혁신 역사는 ‘최초’의 연속이라 할 수 있다. 1976년 차주배상책임보험, 1980년대에는 장기운전자복지보험을 국내 최초 출시했으며, 1998년에는 보상서비스 품질보증제도를 업계 최초로 도입해 서비스 품질을 선진국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AI 비서시스템 도입 후에는 보험설계 자동화로 연간 65.5억 원의 비용 절감을 달성했고, 화면 미러링 기술을 활용한 텔레마케팅 간소화 서비스는 금융위원회 혁신금융서비스로 지정받아 약 130억 원의 재무효과를 창출했다. 또한 자동차 수리비 비교견적 플랫폼을 업계 최초로 구축하여 과잉수리 방지와 고객 피해 예방에 기여했다. DB손해보험은 2023년 미국 신용평가사 A.M. Best로부터 A+ 등급을, 2024년에는 S&P로부터 동일 등급을 획득하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신뢰성을 인정받았으며, 앞으로도 AI·빅데이터 기반 리스크 관리 체계를 지속 고도화하여 금융 서비스 전반의 품질 경쟁력을 선도할 계획이다.
소통과 책임경영으로 신뢰받는 생활 인프라 기업
DB손해보험은 고객 의견 실시간 반영을 위해 고객총괄책임자 조직을 신설하고, 소비자 평가단 운영과 고객 불만 관리체계를 강화해 2023년 금융감독원 금융소비자보호 실태 평가 전 항목 ‘양호’ 등급을 획득했다. 직원 제안제도를 활성화해 연간 1만 건 가까운 아이디어가 등록되고, 약 1,000명의 임직원·영업가족과 직접 소통이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다양한 의견을 현장 중심으로 반영하고 있다. 또한, ‘안전과 회복의 사회 시스템’이라는 역할 실천을 위해 ESG 경영을 강화하고, 전국 초등학교에 옐로카펫 설치, 금융교육과 환경콘서트 등 사회 공헌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23년간 KBS 119상 후원, 희귀질 환자 치료비 지원 등으로 사회적 책임을 실천하며 국민의 안전과 행복을 지키는 생활 인프라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추진성과
| 구 분 | 2023년 | 2024년 | 2025년(추정) |
|---|---|---|---|
| 완전판매율(%) | 100.0 | 100.0 | 100.0 |
| KS-SQI(장기, 점) | 76.6(1위) | 76.8(1위) | 76.5(1위) |
| KS-SQI(자동차, 점) | 76.8 | 77.3 | 77.5(1위) |
| A.M.Best 등급 | A+(Superior) | A+(Superior) | A+(Superior) |
| S&P 신용등급 | A(Stable) | A+(Stable) | A+(Stabl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