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탑산업훈장
최 영 수크레텍책임㈜ 대표이사
산업공구 분류 표준화 및 디지털 유통망 구축

- 2021 한국서비스대상 종합대상
- 2020 한국유통대상 대통령 표창
- 2016 국가품질경영대회 대통령 표창
- 2008 납세자의 날 대통령 표창
상을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립니다. 산업공구업계에서 함께 애쓰
신 많은 유통·제조 종사자분들과도 이 영광을 나누고 싶습니다. 제가
몸 담아온 산업공구업이 나라발전에 도움이 됐음을 인정해주시는
것 같아 정말 기쁩니다. 한국은 6.25 이후 현대적 공구를 접하고 그
정보마저 미국과 일본 책에 의지하는 등 국가산업 발전에 필수적인
산업공구 표준화가 부족했습니다. 이에 13만 가지에 달하는 산업공
구를 분류, 체계화해 과학적 유통망을 세우는 데 온 힘을 쏟았습니
다. 앞으로 좋은 품질의 공구 개발과 디지털 AI 시대에 맞는 유통혁
신을 통해 우리나라 공구산업이 글로벌 수준으로 발전하는 데 기여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크레텍의 시작은 한 대의 자전거였다. 1971년 자전거에 공구를 싣고 버스에 공구를 넣어주던 한 청년은 이후 공구 제조와 판매 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하게 된다. 그때의 청년이 바로 크레텍 창 업주인 최영수 회장이다. 공구를 두고 흥정하던 관행을 깨고 정 가를 제시해 투명한 유통질서를 정착시키는 데 기여했다. 특히 제품에 바코드를 붙여 판매관리는 물론 제조에서 현장까지 산 업공구의 흐름을 한 궤에 볼 수 있도록 했다. 이제 공구업은 디 지털화를 넘어 현재의 시대적 과제인 비대면 비즈니스로까지 발 전하고 있다.
공구업, 빅데이터 분석 통해 경영품질 개선
크레텍은 1,200여 국내외 제조사의 산업공구 13만 가지를 국내 8,000여 공구상사로 연결하는 플랫폼 기업이다. 이 과정에서 방대한 산업공구 정보를 집대성하고, 바코드, 온라인 주문 시스 템, 제품정보 디지털화 등을 통해 업계 최초로 과학적 유통망을 세웠다.
산업공구 분류군은 작업공구, 절삭, 측정, 전동, 에어, 용접, 산 업안전용품 등 9가지이며, 이를 다시 44개 중분류 298개 소분류로 나눠 정보와 용어 등을 표준화했다. 1996년에는 산업공구 유통 분야 최초로 품질경영에 관한 국제인증인 ISO 9001을 취 득했다. 크레텍은 공구유통에 온라인 주문과 디지털 정보체계 를 적용한 데 이어 제품과 고객의 주문정보를 빅데이터화해 진 화된 비즈니스 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기계공구 중심의 ‘크레텍 책임’과 산업안전용품 위주의 ‘크레텍웰딩’으로 구성돼 있으며, ‘크레텍’으로 통칭한다.
한국산업공구보감 편찬 및 행안부 분류체계에 인용
크레텍은 모든 공구를 체계화해 한 권으로 정리한 ‘한국산업공 구보감’을 1989년도부터 격년으로 발행하고 있다. 올해는 17판 이 단권과 전문판 등 총 두 종류로 출판됐다. 나올 때마다 8만 여 부가 전량 유료로 판매되는 산업계 베스트셀러로, 산업현장 은 물론 제조사, 공구상사, 학교, 연구소, 군대, 국책기관 등에서 통용된다. 최근에는 행정안전부 정부청사관리본부의 공구 분 류체계에 인용됐다.
한국산업공구보감은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에 맞춰 온라인 및 모바일 주문 시스템과도 연계돼 있다. 전국 거래처에서는 해당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주문, 재고확인, 견적서 작성, 배송상황까 지 파악이 가능하고 모든 거래와 배송이 원스톱으로 진행된다. 공구보감 속 QR코드를 촬영하면 스마트폰 동영상을 통해 상세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공구상 운영 솔루션 제공, 사회공헌에도 앞장
크레텍은 ‘고객에게 감동을, 직원에게 행복을, 사회에는 책임을’ 이라는 경영이념을 바탕으로 한다. 데이터 기업으로 성장하면 서 재해 발생 시에도 업무를 중단하지 않고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DR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고객사 온라인 쇼핑몰 오픈 지 원, 오프라인 매장관리를 위한 솔루션(공구ERP) 지원 등을 하 고 있다. 또한 축적된 방대한 정보를 취합하여 경영정보 그래프 로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경영정보시스템을 개발해 활용하 고 있다. 이러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고객사의 경영에 도움이 되는 컨설팅도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한편, 밖으로는 국내외 각종 재해성금은 물론, 이웃돕기, 국민건 강을 위한 육상연맹 후원, 지역 중고교 꿈나무, 대학교 지원 등 사회공헌에도 앞장서고 있다.
크레텍의 시작은 한 대의 자전거였다. 1971년 자전거에 공구를 싣고 버스에 공구를 넣어주던 한 청년은 이후 공구 제조와 판매 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하게 된다. 그때의 청년이 바로 크레텍 창 업주인 최영수 회장이다. 공구를 두고 흥정하던 관행을 깨고 정 가를 제시해 투명한 유통질서를 정착시키는 데 기여했다. 특히 제품에 바코드를 붙여 판매관리는 물론 제조에서 현장까지 산 업공구의 흐름을 한 궤에 볼 수 있도록 했다. 이제 공구업은 디 지털화를 넘어 현재의 시대적 과제인 비대면 비즈니스로까지 발 전하고 있다.
공구업, 빅데이터 분석 통해 경영품질 개선
크레텍은 1,200여 국내외 제조사의 산업공구 13만 가지를 국내 8,000여 공구상사로 연결하는 플랫폼 기업이다. 이 과정에서 방대한 산업공구 정보를 집대성하고, 바코드, 온라인 주문 시스 템, 제품정보 디지털화 등을 통해 업계 최초로 과학적 유통망을 세웠다.
산업공구 분류군은 작업공구, 절삭, 측정, 전동, 에어, 용접, 산 업안전용품 등 9가지이며, 이를 다시 44개 중분류 298개 소분류로 나눠 정보와 용어 등을 표준화했다. 1996년에는 산업공구 유통 분야 최초로 품질경영에 관한 국제인증인 ISO 9001을 취 득했다. 크레텍은 공구유통에 온라인 주문과 디지털 정보체계 를 적용한 데 이어 제품과 고객의 주문정보를 빅데이터화해 진 화된 비즈니스 형태를 제시하고 있다. 기계공구 중심의 ‘크레텍 책임’과 산업안전용품 위주의 ‘크레텍웰딩’으로 구성돼 있으며, ‘크레텍’으로 통칭한다.
한국산업공구보감 편찬 및 행안부 분류체계에 인용
크레텍은 모든 공구를 체계화해 한 권으로 정리한 ‘한국산업공 구보감’을 1989년도부터 격년으로 발행하고 있다. 올해는 17판 이 단권과 전문판 등 총 두 종류로 출판됐다. 나올 때마다 8만 여 부가 전량 유료로 판매되는 산업계 베스트셀러로, 산업현장 은 물론 제조사, 공구상사, 학교, 연구소, 군대, 국책기관 등에서 통용된다. 최근에는 행정안전부 정부청사관리본부의 공구 분 류체계에 인용됐다.
한국산업공구보감은 디지털 시대로의 전환에 맞춰 온라인 및 모바일 주문 시스템과도 연계돼 있다. 전국 거래처에서는 해당 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주문, 재고확인, 견적서 작성, 배송상황까 지 파악이 가능하고 모든 거래와 배송이 원스톱으로 진행된다. 공구보감 속 QR코드를 촬영하면 스마트폰 동영상을 통해 상세 정보도 확인할 수 있다.
공구상 운영 솔루션 제공, 사회공헌에도 앞장
크레텍은 ‘고객에게 감동을, 직원에게 행복을, 사회에는 책임을’ 이라는 경영이념을 바탕으로 한다. 데이터 기업으로 성장하면 서 재해 발생 시에도 업무를 중단하지 않고 데이터를 복구할 수 있는 DR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고객사 온라인 쇼핑몰 오픈 지 원, 오프라인 매장관리를 위한 솔루션(공구ERP) 지원 등을 하 고 있다. 또한 축적된 방대한 정보를 취합하여 경영정보 그래프 로 제공하며, 이를 바탕으로 경영정보시스템을 개발해 활용하 고 있다. 이러한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고객사의 경영에 도움이 되는 컨설팅도 확대해나갈 예정이다. 한편, 밖으로는 국내외 각종 재해성금은 물론, 이웃돕기, 국민건 강을 위한 육상연맹 후원, 지역 중고교 꿈나무, 대학교 지원 등 사회공헌에도 앞장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