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통령표창
- 국가품질혁신상(인재개발)
-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


박 귀 찬원장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이 국가품질혁신상 인재개발
부문을 수상하게 되어 매우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 국
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은 앞으로도 업무몰입과 역량개
발을 통해 직원의 삶을 더욱 풍성하게 만드는 것을 목
표로 공공기관 인재개발 모범사례를 창출하고, 이를 과
학기술계에 확산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습
니다. 다시 한번 수상에 감사드리며 더 좋은 기관을 만
들어 나가기 위해 솔선수범하고 있는 KIRD 직원들에
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과학기술 인재개발 전문기관으로 도약을 노린다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은 과학기술 인재개발 전문기관으로 도약 을 위해 직원 경력개발 및 전문가 양성 제도, 인권친화적 상생경영 등 성장과 소통의 조직문화 구축을 위한 경영혁신을 단계적으로 추 진하고 있다.
기관 미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인재개발 체계 개편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은 과학기술인 역량 강화를 통한 국가 R&D 투자 효율성을 제고하는 목적으로 2007년 설립됐다. 최근에는 새롭게 다가오는 뉴노멀 시대 경영 패러다임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인재상과 인재양성 체계를 개편했다. 먼저 KIRD의 미 래전문가 유형을 도출하여 직원이 희망하는 전문가로 성장해 나가 기 위한 경력개발모형(KIRD형 CDP)을 구축하고, 디지털 전환, 데 이터 리터러시, 비대면 교육기획·퍼실리테이팅 등 역량심화(upskilling)와 역량전환(re-skilling) 관점의 역량모델을 재정비하여 직 원 교육체계를 수립했다.
또한 리더십 과정, 승급 및 보임 과정, 핵심인재 과정, 전문가 양성 과정, 혁신역량 교육 등 다양한 신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경력 단계 및 역량 필요 수준에 따라 필수과정, 선택과정으로 구분 운영 하고 있으며, 승진·보임·평가 등 인사제도와 교육을 연계하는 등 교 육 활성화 방안도 도입했다.
HR 모범기관으로 도약하기 위해 채용·이동배치·성과 평가·승진·퇴직 등 HR 전주기에 따른 세부 혁신방안을 운영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최 적 인재 선발을 위한 채용 전형을 고도화했으며, 경력 경로, 희망직무, 기관전략, 잡포스팅을 종합한 인력이동 프로세스를 구축했다.
이 밖에도 BSC 기반 성과평가 제도 도입과 더불어 평가센터 기법을 활용해 역량보유 여부 검증을 강화한 승진평가 제도로 성과 중심 업 무환경을 지향하고, 고경력자 특화 인사제도, 명예포상, 은퇴예정자 연수 등 고경력자 및 퇴직자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비대면 교육환경 조성
변화하는 시대적 트렌드에 맞춰 기존 원격 교육 한계를 극복하는 디 지털 학습공간 ‘K-LIVE 스튜디오’를 구축해 직원교육에 활용하고 있 다. K-LIVE 스튜디오는 토론, 실습, 시연, 협동학습 등 다양한 교수 법 적용이 가능하도록 실제 강의현장을 실감 나게 구현한 체험형 공 간이다. K-LIVE 스튜디오는 LED 비디오월, 대형 전자칠판, 자동추 적 카메라 등 첨단장비로 교수자의 강의 실제감을 높이고, 학습자의 현장감과 몰입도를 극대화했다. 또한, WebRTC 기반 화상 강의 플 랫폼 ‘라이브스쿨’을 개발해 교수자-학습자 간 소통형 원격 교육 시 스템을 비대면 교육에 활용하는 것은 물론, 직원이 비대면 교육을 효 과적으로 기획·운영할 수 있는 역량을 향상할 수 있도록 ‘KIRD 비대 면 온라인 강의 실무가이드’를 제작하여 배포했다.
일터학습 연계 방안 도입
아주캐피탈KIRD 직원은 자체 온라인 교육포털을 활용해 R&D·리더십·자기계발 등 본인이 희망한 모든 콘텐츠를 상시 무료로 신청할 수 있다. 2021 년에는 마이크로러닝 플랫폼 ‘과기人 지식연구소’를 오픈하여 짧고 임팩트 있는 2,200여 개의 최신 콘텐츠를 웹과 모바일 기반 수강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직원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자체연구 제도도 운용하고 있다. 연구계획서 심의를 통과한 과제의 연구활동비를 지원해 직원의 축적된 전문성을 기반으로 기관사업 유관 분야 자체연구 실시 후, 연구결과를 평가받고 대내외 공유하고 있다. 이외에도 내부 컨설턴트 양성제도와 특임교수 선발제도도 운 용하여 직원의 전문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컨설팅 프로 세스 표준 매뉴얼 및 외부 전문 컨설턴트의 강연 등으로 직원 컨설팅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강의 및 교육개발 역량이 뛰어난 직원은 전문 강사 양성과정 참여 및 ICPI(전문강사 자격) 인증 취득을 지원하고, 이후 특임교수로 임명해 기관의 내외부 강의를 수행하고 있다.
과학기술 인재개발 전문기관으로 도약을 노린다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은 과학기술 인재개발 전문기관으로 도약 을 위해 직원 경력개발 및 전문가 양성 제도, 인권친화적 상생경영 등 성장과 소통의 조직문화 구축을 위한 경영혁신을 단계적으로 추 진하고 있다.
기관 미래 핵심역량 강화를 위한 인재개발 체계 개편
국가과학기술인력개발원은 과학기술인 역량 강화를 통한 국가 R&D 투자 효율성을 제고하는 목적으로 2007년 설립됐다. 최근에는 새롭게 다가오는 뉴노멀 시대 경영 패러다임에 대응하기 위해 새로운 인재상과 인재양성 체계를 개편했다. 먼저 KIRD의 미 래전문가 유형을 도출하여 직원이 희망하는 전문가로 성장해 나가 기 위한 경력개발모형(KIRD형 CDP)을 구축하고, 디지털 전환, 데 이터 리터러시, 비대면 교육기획·퍼실리테이팅 등 역량심화(upskilling)와 역량전환(re-skilling) 관점의 역량모델을 재정비하여 직 원 교육체계를 수립했다.
또한 리더십 과정, 승급 및 보임 과정, 핵심인재 과정, 전문가 양성 과정, 혁신역량 교육 등 다양한 신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경력 단계 및 역량 필요 수준에 따라 필수과정, 선택과정으로 구분 운영 하고 있으며, 승진·보임·평가 등 인사제도와 교육을 연계하는 등 교 육 활성화 방안도 도입했다.
HR 모범기관으로 도약하기 위해 채용·이동배치·성과 평가·승진·퇴직 등 HR 전주기에 따른 세부 혁신방안을 운영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최 적 인재 선발을 위한 채용 전형을 고도화했으며, 경력 경로, 희망직무, 기관전략, 잡포스팅을 종합한 인력이동 프로세스를 구축했다.
이 밖에도 BSC 기반 성과평가 제도 도입과 더불어 평가센터 기법을 활용해 역량보유 여부 검증을 강화한 승진평가 제도로 성과 중심 업 무환경을 지향하고, 고경력자 특화 인사제도, 명예포상, 은퇴예정자 연수 등 고경력자 및 퇴직자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 비대면 교육환경 조성
변화하는 시대적 트렌드에 맞춰 기존 원격 교육 한계를 극복하는 디 지털 학습공간 ‘K-LIVE 스튜디오’를 구축해 직원교육에 활용하고 있 다. K-LIVE 스튜디오는 토론, 실습, 시연, 협동학습 등 다양한 교수 법 적용이 가능하도록 실제 강의현장을 실감 나게 구현한 체험형 공 간이다. K-LIVE 스튜디오는 LED 비디오월, 대형 전자칠판, 자동추 적 카메라 등 첨단장비로 교수자의 강의 실제감을 높이고, 학습자의 현장감과 몰입도를 극대화했다. 또한, WebRTC 기반 화상 강의 플 랫폼 ‘라이브스쿨’을 개발해 교수자-학습자 간 소통형 원격 교육 시 스템을 비대면 교육에 활용하는 것은 물론, 직원이 비대면 교육을 효 과적으로 기획·운영할 수 있는 역량을 향상할 수 있도록 ‘KIRD 비대 면 온라인 강의 실무가이드’를 제작하여 배포했다.
일터학습 연계 방안 도입
아주캐피탈KIRD 직원은 자체 온라인 교육포털을 활용해 R&D·리더십·자기계발 등 본인이 희망한 모든 콘텐츠를 상시 무료로 신청할 수 있다. 2021 년에는 마이크로러닝 플랫폼 ‘과기人 지식연구소’를 오픈하여 짧고 임팩트 있는 2,200여 개의 최신 콘텐츠를 웹과 모바일 기반 수강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직원 연구역량 강화를 위한 자체연구 제도도 운용하고 있다. 연구계획서 심의를 통과한 과제의 연구활동비를 지원해 직원의 축적된 전문성을 기반으로 기관사업 유관 분야 자체연구 실시 후, 연구결과를 평가받고 대내외 공유하고 있다. 이외에도 내부 컨설턴트 양성제도와 특임교수 선발제도도 운 용하여 직원의 전문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컨설팅 프로 세스 표준 매뉴얼 및 외부 전문 컨설턴트의 강연 등으로 직원 컨설팅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강의 및 교육개발 역량이 뛰어난 직원은 전문 강사 양성과정 참여 및 ICPI(전문강사 자격) 인증 취득을 지원하고, 이후 특임교수로 임명해 기관의 내외부 강의를 수행하고 있다.

회사소개
- 소재지 :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양청4길 45
- 자본금 : 160.8억 원
- 매출액 : 204억 원(2021년 추정)
- 종업원 수 : 115명
- 주요 생산품 : 과학기술인력 교육프로그램 개발·운영, 교육 시스템 구축·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