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
- 국가품질혁신상 「사회적가치창출 부문」을 「ESG경영 부문」으로 명칭 변경
- 분임조 「환경품질」 폐지, 「에너지·기후변화」를 「탄소중립」으로 통합
2021
- 「국가품질혁신상 명품창출 부문」 폐지, 「국가품질혁신상 탄소중립 부문」 신설
- 「4차산업혁신상」, 「국가품질혁신상 4차산업혁신 부문」으로 명칭 변경
- 「서비스품질우수상」, 「국가품질혁신상 서비스혁신 부문」으로 통합
2020
- 「4차산업혁신상」 신설
- 분임조 「사회적가치창출 부문」 신설
- 품질경쟁력우수기업 「서비스 부문」 신설
2019
- 「국가품질혁신상 지속가능경영 부문」 폐지
- 「국가품질혁신상 사회적가치창출 부문」 신설
- 분임조 「에너지·기후변화 부문」, 「스마트공장 부문」 신설
2018
- 「국민안전 서비스품질상」 신설
2017
- 국가품질명장 증서 대통령 명의로 격상
2016
- 「국가품질혁신상 제품품질혁신 부문」 신설
2015
- 분임조 「학습동아리(CoP)」부문을 「창의개선」부문으로 통합
- 분임조 「트리즈(TRIZ)」부문을 「자유형식」부문으로 통합
- 제안경진대회를 분임조 「제안사례」부문으로 통합
2014
- 「품질경영추진우수지자체상」 폐지
- 「국가품질혁신상 지속가능경영 부문」 신설
- 분임조 「트리즈(TRIZ)」 부문 신설
2013
- 「품질경영상」을 「국가품질경영상」으로 명칭 변경
- 「품질명장」을 「국가품질명장」으로 명칭 변경
- 부문상을 「국가품질혁신상」으로 통합
- 「분임조우수기업상」, 「품질경쟁력우수상」 폐지
- 분임조 「중견기업 부문」, 「상생협력 부문」 신설
- 「품질경쟁력우수기업」 국가품질경영대회에서 통합 시상
2011
- 분임조 「자유형식 부문」 신설
2010
- 「품질경영추진우수지자체상」, 「분임조우수기업상」 신설
- 「서비스품질명장」 신설
2009
- 「품질경영상 의료 부문·교육 부문」 신설
- 「가치혁신상」 폐지
- 「한국서비스품질 우수기업」, 「품질경쟁력우수기업」 정부포상 통합
- 「글로벌인재개발상」을 「인재개발상」으로 명칭 변경
2008
- 「제품안전경영상」 폐지
- 「글로벌인재개발상」 신설
2003
- 「제품안전경영상」 신설
2002
- 「소비자만족상」, 「서비스혁신상」 신설
2001
- 기업체 부문 종합상 6개 부문상 신설(리더십, 전략경영, 고객만족, 정보품질, 인재육성, 프로세스)
- 「품질경영상」 벤처 부문 신설
- 기업체 부문 「부문상」을 「전문상」으로,「환경경영우수상」을 「환경경영상」으로 명칭 변경
- 정부의 포상 계획에 따라 「산업표준화상」을 「표준의 날」 행사로 이관
2000
- 「전국품질경영대회」를 「국가품질경영대회」로 명칭 변경
- 「환경경영우수기업상」을 「환경경영우수상」으로 명칭 변경
- 「소비자만족우수기업상」을 「고객만족우수상」으로 명칭 변경
- 「6시그마혁신상」 신설 행사로 이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