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통령표창
- 국가품질혁신상 ESG경영
- ㈜KB금융지주


윤 종 규㈜KB금융지주 회장
KB금융그룹이 국가품질혁신상 ESG
경영 부문 대통령표창을 수상하게 되
어 진심으로 영광스럽게 생각하며, 임
직원을 대표해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
다. KB금융그룹은 ‘세상을 바꾸는 금융’이라는 미션 아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ESG경영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ESG
경영을 통해 우리 사회와 경제의 변화를 이끌어가고, 다양한
사람들의 가치관을 존중하고 포용함으로써 ‘다름을 경쟁력’
으로 만들어 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KB금융그룹은 차별화된
ESG경영 실천으로 우리 사회가 ‘더 나은 세상’으로 가는 길에
선한 영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앞장서 나가겠습니다.
차별화된 ESG경영으로 더 나은 사회적 가치 창출
KB금융그룹은 국내 최대 고객 기반 및 지점망을 갖춘 종합금융 그룹이다. KB금융지주 산하에 KB국민은행, KB증권, KB손해보험, KB국민카드 등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 KB금융그룹은 금융산업의 글로벌 가속화, 전통적 은행 업무의 수익성 감소, 자본시장법 도 입에 따른 자본시장 확대 등 금융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또 ESG경영을 선도하는 금융그룹으로서 사회 전반의 지속가능한 성 장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ESG경영체계 확립에 노력
KB금융그룹은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고 자립 가능한 사회적 금융 생태계 조성을 위해 ‘KB 사회투자펀드’를 결성하고 총 750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했다. 이렇게 조성된 펀드는 사회·환경 분야에 긍정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소셜 임팩트 기업에 투자하고 있 다. 사회혁신 스타트업의 사업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KB국민 은행은 2019년부터 ‘KB금융캠퍼스 S.I.N.G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이는 사회적 가치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3년차 이상의 스타 트업을 선발해 10주 동안 기업 경영 실무 교육 및 1:1 맞춤 컨설팅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KB스타터스’ 프로그램 등 유망 스타트업 육성을 통해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노력도 지속하고 있다.
차별화된 ESG경영으로 더 나은 사회적 가치 창출
KB금융그룹은 국내 최대 고객 기반 및 지점망을 갖춘 종합금융 그룹이다. KB금융지주 산하에 KB국민은행, KB증권, KB손해보험, KB국민카드 등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 KB금융그룹은 금융산업의 글로벌 가속화, 전통적 은행 업무의 수익성 감소, 자본시장법 도 입에 따른 자본시장 확대 등 금융환경 변화에 대응하고 있다. 또 ESG경영을 선도하는 금융그룹으로서 사회 전반의 지속가능한 성 장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ESG경영체계 확립에 노력
KB금융그룹은 ESG경영체계를 확립하고 전사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ESG이행원칙’ 선언을 시작으로 2020년 3월, 금융사 최초
로 이사회 내 ESG경영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ESG위원회’를 신설
했다. 또한 ESG경영의 지속적인 확산을 위해 ‘KB GREEN WAVE
2030’ 전략을 통해 2030년까지 ESG상품·투자·대출을 50조 원
까지 확대할 계획이며, ‘KB Net Zero S.T.A.R.’를 바탕으로 탄소중
립에도 앞장서고 있다.
이처럼 KB금융그룹은 기후변화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 해 다양한 노력을 진행 중이다. 2020년 9월, 국내 금융그룹 최초 로 모든 계열사가 참여해 ‘탈석탄 금융’을 선언했으며, KB국민은행 은 2021년 ‘대규모 개발사업이 환경 훼손이나 해당 지역 인권침해와 같은 환경 및 사회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는 경우, 해당 프로젝 트에는 자금지원을 하지 않는다’는 ‘적도 원칙’에 가입했다. 이밖에 도 KB금융그룹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설비 구축 에도 적극 동참하고 있으며 전국의 영업점 건물들에 전기차 충전 시설도 확대하고 있다.
다양한 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 제공
‘세상을 바꾸는 금융’이라는 그룹 미션을 토대로 KB금융그룹은 미 래세대의 육성과 사회적 가치 창출을 기본 방향으로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특히 아동·청소년의 돌봄 공백 해결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 이에 2022년 7월까지 KB금융그룹의 지 원을 통해 총 1,121개 교에 1,949개의 초등돌봄교실 등이 조성돼 4만 여 명의 아동들이 이용하고 있다. 이 외에도 청소년들이 학습에 자 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학습 멘토링’, ‘진로 멘토링’, ‘디지털 멘토링’ 등을 지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2011년부터 우수 중소· 중견기업과 구직자가 함께 참여하는 ‘KB굿잡 취업박람회’를 매년 개최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21년까지 23,280명의 일자리를 연결 했고, 일정기간 고용이 유지되는 경우에는 해당 기업에게 채용지 원금을 지급함으로써 고용의 안정성도 지원하고 있다. KB금융그룹의 사회적 가치 창출은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중소기업과 소상 공인을 위해 ‘KB 소호컨설팅 서비스’, ‘KB Wise 컨설팅 서비스’, ‘KB ESG 컨설팅 서비스’ 등 다양한 활동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긍정적 임팩트로 기업 성장 도모이처럼 KB금융그룹은 기후변화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 해 다양한 노력을 진행 중이다. 2020년 9월, 국내 금융그룹 최초 로 모든 계열사가 참여해 ‘탈석탄 금융’을 선언했으며, KB국민은행 은 2021년 ‘대규모 개발사업이 환경 훼손이나 해당 지역 인권침해와 같은 환경 및 사회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는 경우, 해당 프로젝 트에는 자금지원을 하지 않는다’는 ‘적도 원칙’에 가입했다. 이밖에 도 KB금융그룹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설비 구축 에도 적극 동참하고 있으며 전국의 영업점 건물들에 전기차 충전 시설도 확대하고 있다.
다양한 지원으로 양질의 일자리 제공
‘세상을 바꾸는 금융’이라는 그룹 미션을 토대로 KB금융그룹은 미 래세대의 육성과 사회적 가치 창출을 기본 방향으로 다양한 사회 공헌 활동을 펼치고 있다. 특히 아동·청소년의 돌봄 공백 해결을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다. 이에 2022년 7월까지 KB금융그룹의 지 원을 통해 총 1,121개 교에 1,949개의 초등돌봄교실 등이 조성돼 4만 여 명의 아동들이 이용하고 있다. 이 외에도 청소년들이 학습에 자 신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학습 멘토링’, ‘진로 멘토링’, ‘디지털 멘토링’ 등을 지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2011년부터 우수 중소· 중견기업과 구직자가 함께 참여하는 ‘KB굿잡 취업박람회’를 매년 개최하고 있다. 이를 통해 2021년까지 23,280명의 일자리를 연결 했고, 일정기간 고용이 유지되는 경우에는 해당 기업에게 채용지 원금을 지급함으로써 고용의 안정성도 지원하고 있다. KB금융그룹의 사회적 가치 창출은 여기서 멈추지 않는다. 중소기업과 소상 공인을 위해 ‘KB 소호컨설팅 서비스’, ‘KB Wise 컨설팅 서비스’, ‘KB ESG 컨설팅 서비스’ 등 다양한 활동을 지속 추진하고 있다
KB금융그룹은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고 자립 가능한 사회적 금융 생태계 조성을 위해 ‘KB 사회투자펀드’를 결성하고 총 750억 원 규모의 펀드를 조성했다. 이렇게 조성된 펀드는 사회·환경 분야에 긍정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소셜 임팩트 기업에 투자하고 있 다. 사회혁신 스타트업의 사업역량 강화를 지원하기 위해 KB국민 은행은 2019년부터 ‘KB금융캠퍼스 S.I.N.G 프로젝트’를 운영하고 있다. 이는 사회적 가치 창출을 목적으로 하는 3년차 이상의 스타 트업을 선발해 10주 동안 기업 경영 실무 교육 및 1:1 맞춤 컨설팅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 ‘KB스타터스’ 프로그램 등 유망 스타트업 육성을 통해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한 노력도 지속하고 있다.

회사소개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26
- 자본금 : 2조 906억 원
- 매출액 : 58조 9,177억 원
- 종업원 수 : 27,933명
- 주요 생산품 :
- 금융 지주회사업, 금융 관련 서비스업
추진성과
구 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총자산(억 원) | 5,185,631 | 6,107,199 | 6,638,958 |
매출액(억 원) | 471,697 | 556,802 | 589,177 |
당기순이익(억 원) | 33,126 | 35,156 | 43,844 |
- DJSI(다우존스 지속가능경영지수) World 편입(6년 연속)
- MSCI ESG평가 AA등급 획득
- S&P 글로벌 2022 지속가능 어워드 골드 클래스 수상
- 한국ESG기준원 ESG평가 종합 A+ 획득(4년 연속)
- CDP 금융 섹터 아너스 선정(5년 연속)
- CDP 기후변화 대응 부문 국내 금융사 유일 ‘Leadership A’ 획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