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통령표창
- 국가품질혁신상 탄소중립
- ㈜신한은행


진 옥 동㈜신한은행 은행장
신한은행이 국가품질혁신상 탄소중립
부문의 대통령표창을 수상하게 되어
영광입니다. 현재 신한은행 임직원은
‘금융으로 세상을 이롭게 한다’는 미션
아래 고객과 사회의 가치를 높이고 상생의 선순환을 이루기 위
한 ESG경영에 힘쓰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범국가적 과제인 탄
소중립은 물론 다양한 환경·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데 앞장설
계획입니다. 또한 탄소중립과 ESG경영이 은행 경영 전반에 뿌
리내릴 수 있도록 끊임없는 혁신을 추구해 나가겠습니다.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신한의 여정에 많은 성원 부탁드립니다
탄소중립 실천에 앞장서는 신한은행
신한은행은 ‘고객·사회와의 상생’을 핵심가치로 삼으며 ‘미래를 함께 하는 따뜻한 금융’이라는 그룹 미션을 실천하고 있다. ‘고객과 사회’ 를 지향하는 신한의 미션은 사회구성원으로서 기업의 역할을 강조 하는 ESG경영과도 맞닿아 있다. 이에 신한은행은 독자적인 ESG체 계를 확립, 실질적인 ESG전략을 수행하고 있다.
친환경 리더십을 통한 ESG체계 확립
2013년 시중은행 최초로 「신한은행 환경보고서」를 발간하여 환경 전략, 주요 관리지표 및 성과에 대해 이해관계자와 지속적으로 소 통했다. 2021년 12월에는 기존 환경보고서를 확대·개편해 「신한은 행 ESG보고서」를 발간한 데 이어 2022년 3월에는 기후금융에 관 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은행권 최초로 「기후금융보고서」 를 발간해 탄소중립에 대한 신한의 전략과 활동을 이해관계자와 소 통했다.
또한 글로벌 ESG이니셔티브와 협력해 글로벌 우수사례를 선도적으 로 도입하고 ESG글로벌 스탠다드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적극 참여 중이다. 특히, 친환경 글로벌 이니셔티브인 CDP, TCFD, PCAF, SBTi, TNFD 및 GFANZ의 NZBA와 같은 탄소중립 금융기관 연합에도 가 입하여 친환경 금융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일상 업무에서 탄소중립 내재화를 위해 임직원이 참여하는 ESG캠 페인 ‘신한은行하다!’ 시리즈를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2022년 한 해 동안 ‘제로챌린지’, ‘착한 여름나기 캠페인’, ‘디지털 탄소 다이 어트 캠페인’을 연속으로 실시한 바 있다. 또한 ESG컨설팅 Cell을 운 영해 ESG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중견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맞 춤형 ESG진단을 실시하고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탄소중립 실천에 앞장서는 신한은행
신한은행은 ‘고객·사회와의 상생’을 핵심가치로 삼으며 ‘미래를 함께 하는 따뜻한 금융’이라는 그룹 미션을 실천하고 있다. ‘고객과 사회’ 를 지향하는 신한의 미션은 사회구성원으로서 기업의 역할을 강조 하는 ESG경영과도 맞닿아 있다. 이에 신한은행은 독자적인 ESG체 계를 확립, 실질적인 ESG전략을 수행하고 있다.
친환경 리더십을 통한 ESG체계 확립
효과적인 ESG경영 실천을 위해 힘쓰고 있는 신한금융그룹은 2020년
11월, 동아시아 금융사 최초로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Net-Zero로
하는 탄소중립 전략 ‘Zero Carbon Drive’ 및 ‘2030년까지 친환경금융
30조 원 달성’ 목표를 선언했다. 때문에 신한은행은 탄소중립 전략을
바탕으로 거래 기업의 탄소배출량 감축 및 친환경 금융지원 확대에
힘쓰고 있다.
2021년, 신한은행은 금융사 최초로 ESG 사업성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평가하는 ESG 성과 관리 체계를 선제적으로 구축하고 경영진 전 략과제에 친환경 금융, 탄소배출량 실적을 반영하는 등 은행 경영 전 반에 ESG 내재화를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다.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경영 추진을 위해 역할 및 책임을 명확히 하 고 탄소중립 추진 동력 확보 관련, 전행 ESG추진 조직 및 구동체계를 확립했다. 아울러 2022년 1월, 전사적인 ESG경영 및 친환경 금융 확대를 위해 경영기획그룹 산하에 ESG기획실을 신설했다. 2022년 3월 에는 국내 시중은행 최초로 이사회 內 소위원회 ESG위원회를 설치해 ESG와 관련된 핵심 이슈를 점검하고 있다
탄소중립 금융을 통해 그리는 지속가능한 미래
신한은행은 그룹의 탄소중립 전략인 ‘Zero Carbon Drive’ 방향에 맞 춰 탄소중립의 위기와 기회 요인을 면밀히 분석해 이행 전략을 수립 했다. TCFD 권고안을 바탕으로 신한은행이 처한 탄소중립 ‘위기 요 인’을 전환 리스크와 물리적 리스크 측면에서 분석하고 ‘기회 요인’ 을 자원효율성, 에너지원, 상품·서비스, 시장 등 관점에서 점검하였 다. 또한 금융권 최초로 「탄소배출량 측정관리시스템」 도입을 통해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발생하는 금융배출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여신 및 투자에 따른 영향도를 점검해 포트폴리오 관리에 반영하고 있다. 발전, 철강, 시멘트 등 탄소배출량이 많은 자산군에는 저탄소 전환을 위한 자금을 지원하여 산업부문의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현재 신한은행의 내부 탄소배출량은 본점, 대형건물, 영업점에서 사용하는 전력사용이 약 80%다. 이와 관련 내부 탄소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 본점 대형건물 중심으로 냉난방 설비 및 공조 시설을 효율적으로 관리해 2017년 이후 연 5% 수준으 로 에너지를 절감하고 있다.
탄소중립 실천 및 소통을 통한 사회적 가치 증진2021년, 신한은행은 금융사 최초로 ESG 사업성과를 정량적으로 측 정/평가하는 ESG 성과 관리 체계를 선제적으로 구축하고 경영진 전 략과제에 친환경 금융, 탄소배출량 실적을 반영하는 등 은행 경영 전 반에 ESG 내재화를 지속적으로 추진 중이다.
뿐만 아니라 지속가능한 경영 추진을 위해 역할 및 책임을 명확히 하 고 탄소중립 추진 동력 확보 관련, 전행 ESG추진 조직 및 구동체계를 확립했다. 아울러 2022년 1월, 전사적인 ESG경영 및 친환경 금융 확대를 위해 경영기획그룹 산하에 ESG기획실을 신설했다. 2022년 3월 에는 국내 시중은행 최초로 이사회 內 소위원회 ESG위원회를 설치해 ESG와 관련된 핵심 이슈를 점검하고 있다
탄소중립 금융을 통해 그리는 지속가능한 미래
신한은행은 그룹의 탄소중립 전략인 ‘Zero Carbon Drive’ 방향에 맞 춰 탄소중립의 위기와 기회 요인을 면밀히 분석해 이행 전략을 수립 했다. TCFD 권고안을 바탕으로 신한은행이 처한 탄소중립 ‘위기 요 인’을 전환 리스크와 물리적 리스크 측면에서 분석하고 ‘기회 요인’ 을 자원효율성, 에너지원, 상품·서비스, 시장 등 관점에서 점검하였 다. 또한 금융권 최초로 「탄소배출량 측정관리시스템」 도입을 통해 자산 포트폴리오에서 발생하는 금융배출량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여신 및 투자에 따른 영향도를 점검해 포트폴리오 관리에 반영하고 있다. 발전, 철강, 시멘트 등 탄소배출량이 많은 자산군에는 저탄소 전환을 위한 자금을 지원하여 산업부문의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현재 신한은행의 내부 탄소배출량은 본점, 대형건물, 영업점에서 사용하는 전력사용이 약 80%다. 이와 관련 내부 탄소배출량을 감축하기 위해 본점 대형건물 중심으로 냉난방 설비 및 공조 시설을 효율적으로 관리해 2017년 이후 연 5% 수준으 로 에너지를 절감하고 있다.
2013년 시중은행 최초로 「신한은행 환경보고서」를 발간하여 환경 전략, 주요 관리지표 및 성과에 대해 이해관계자와 지속적으로 소 통했다. 2021년 12월에는 기존 환경보고서를 확대·개편해 「신한은 행 ESG보고서」를 발간한 데 이어 2022년 3월에는 기후금융에 관 한 상세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은행권 최초로 「기후금융보고서」 를 발간해 탄소중립에 대한 신한의 전략과 활동을 이해관계자와 소 통했다.
또한 글로벌 ESG이니셔티브와 협력해 글로벌 우수사례를 선도적으 로 도입하고 ESG글로벌 스탠다드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적극 참여 중이다. 특히, 친환경 글로벌 이니셔티브인 CDP, TCFD, PCAF, SBTi, TNFD 및 GFANZ의 NZBA와 같은 탄소중립 금융기관 연합에도 가 입하여 친환경 금융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일상 업무에서 탄소중립 내재화를 위해 임직원이 참여하는 ESG캠 페인 ‘신한은行하다!’ 시리즈를 지속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2022년 한 해 동안 ‘제로챌린지’, ‘착한 여름나기 캠페인’, ‘디지털 탄소 다이 어트 캠페인’을 연속으로 실시한 바 있다. 또한 ESG컨설팅 Cell을 운 영해 ESG경영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중견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맞 춤형 ESG진단을 실시하고 실질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회사소개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9길 20
- 자본금 : 7조 9,280억 원(2021년별도 재무제표 기준)
- 매출액 : 22조 1,970억 원(2021년별도 재무제표 기준)
- 종업원 수 : 13,609명(2022년 10월 기준)
- 주요 생산품 :
- 금융업
추진성과
구 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자산(억 원) | 3,647,443 | 3,967,167 | 4,325,159 |
매출액(억 원) | 219,099 | 238,062 | 221,970 |
당기순이익(억 원) | 20,712 | 18,261 | 21,529 |
- - 2022 국가브랜드 경쟁력지수(NBCI) 은행부문 1위(6년 연속)
- - 2022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SQI)은행부문 1위(9년 연속)
- - 2021 지속가능성지수(KSI) 1위 수상(10년 연속)
- - 2021 한국서비스대상 명예의 전당 수상(11년 연속)
- - 2021 순환경제부문 산업통상자원부장관상표창 수상
- - 2020 환경부 친환경기술진흥 및 소비촉진 유공 대통령표창 수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