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 발전을 이끄는
국가품질상
국가품질경영대회는 산업 현장에서 품질 향상, 원가절감, 생산성 향상, 고객만족 등 품질경영 혁신활동에 탁월한 경영성과를 창출하여 국가산업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한 공로자와 우수기업을 서훈·표창함으로써 사기를 진작시킴은 물론, 전국의 근로자와 기업인이 한자리에 모여 노사화합 등 산업 발전을 위한 새로운 결의를 다지는 국내 최고의 전통과 권위를 지닌 국가품질경영 진흥 행사입니다.
국가품질상
(KNQA : Korea National Quality Award)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포상제도로 1975년 제정되어 품질경영 혁신활동에 탁월한 경영성과를 창출하여 국가산업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한 공로자와 우수기업 및 단체에 수여하는 정부포상 제도입니다.
※ 법적근거 : 산업표준화법 제31조의 4 및 동법 시행령 제30조의 4(품질경영 우수기업의 선정, 포상 및 지원)
국가품질경영 유공 단체 | - 국가품질대상 : 제조(대·중견·중소), 서비스, 공공, 교육, 의료, 디지털품질 - 국가품질경영상: 제조(대·중견·중소), 서비스, 공공, 교육, 의료, 디지털품질 |
대통령표창 |
---|---|---|
- 국가품질혁신상 : 디지털전환, ESG경영, 고객만족, 생산, 서비스, 설비, 인재개발, 제품품질, 탄소중립, 품질경쟁력 | 대통령표창 국무총리표창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
|
국가품질경영 유공 개인 | - 훈장, 포장, 대통령표창, 국무총리표창, 산업통상자원부장관표창, 국가기술표준원장표창, 한국표준협회장표창 | |
국가품질명장 | - 제조 / 서비스 | |
품질경쟁력우수기업 | 제조 / 서비스 / 건설 / 공공 | |
품질분임조 | 우수품질분임조(금상, 은상, 동상) |
외국 품질상 제도
-
말콤볼드리지상 | 미국
Malcolm Baldrige
National Quality Award1987년 말콤볼드리지 국가품질개선법안(Public Law 100-107)에 의해 제정된 상으로서 미국 산업계에 품질의 중요성을 일깨우기 위해 우수한 품질을 성취한 기업들을 발굴하여 수여하고 있다.
-
유럽품질상 | EU
The European Quality Award전사적 품질경영(TQM) 활동에서 최고의 성과를 거둔 유럽기업에 수여되는 품질상으로 유럽 품질경영재단(EFQM)에서 운영한다. 조직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제품 품질의 확보가 최우선이라는 인식하에 1992년에 제정되었다.
-
데밍상 | 일본
The Deming PrizeW. Edwards Deming 박사가 일본에 통계적 품질관리 기법을 전파시킨 공적을 기리기 위해 1951년 일본과학기술연맹(JUSE)이 제정한 상으로서 전사적 품질관리(CWQC)의 수행에 뛰어난 성과를 이룩한 기업에 수여하고 있다.
※ 미국, 일본 등을 비롯한 전 세계 80여 개국에서 국가품질상 제도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품질의 중요성을 일깨우고 산업의 품질경쟁력을 높여 국가경쟁력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