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통령표창
- 국가품질혁신상 ESG경영 부문
- ㈜신한금융지주회사


진 옥 동 대표이사 회장
신한금융그룹이 국가품질혁신상 ESG경영 부문 대통령표창을
수상하게 되어 영광입니다. 신한금융그룹은 지속가능한 미래를
다짐하며 ‘Do The Right Thing for a Wonderful World(멋진
세상을 향한 올바른 실천)’이라는 ESG 슬로건을 발표했습니다.
금융의 힘으로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 보탬이 되도록 ESG경영에 최선을 다하고 임직원 모두가 솔
선수범하는 ESG를 만들어 나가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앞으
로도 신한금융그룹은 차별화된 ESG경영 실천으로 더 좋은 세
상을 만드는 옳은 일에 앞장서 나가겠습니다.
신한금융그룹은 글로벌 250여 채널과 15개 그룹사를 갖춘 종합금 융그룹으로 신한금융지주 산하에 신한은행, 신한카드, 신한투자 증권, 신한라이프 등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 ‘미래를 함께하는 따뜻한 금융’이라는 미션 아래, 기업의 사회적 역 할을 다하고 진정성 있는 ESG경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ESG 성과관리체계 기반 내재화 추진
신한금융그룹은 2015년 조직 내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 내 에 ESG를 관리, 감독하는 위원회로 ESG전략위원회를 신설해 ESG 경영 추진을 본격화했다. ESG전략위원회의 활동을 기반으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실행체 계 구축을 위해 2019년 모든 그룹사에 CSSO(Chief Strategy and Sustainability Officer)를 임명했다. ESG CSSO협의회 및 ESG실무 협의회를 신설했으며 2021년 그룹사 CEO가 참여하는 ‘ESG추진위 원회’를 출범했다. ESG전략위원회(이사회)에서 수립한 ESG전략을 전 그룹사에서 집 중 실행하는 Top-down 방식과 함께 ESG실무협의회에서 발굴하 고 논의한 추진 과제를 CSSO와 CEO가 협의하고 모니터링해 이사 회에 보고하는 Bottom-up 방식의 Two-Track 구동체계를 완성했 다. 이와 함께 ESG 활동으로 인한 사회적 가치 임팩트를 화폐화하 는 ‘신한 ESG Value Index’를 개발하여 ESG경영 성과를 모니터링 하고 미흡한 성과에 대해 개선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Zero Carbon Drive 선언’으로 탄소중립 선도
신한금융그룹은 글로벌 250여 채널과 15개 그룹사를 갖춘 종합금 융그룹으로 신한금융지주 산하에 신한은행, 신한카드, 신한투자 증권, 신한라이프 등을 계열사로 두고 있다. ‘미래를 함께하는 따뜻한 금융’이라는 미션 아래, 기업의 사회적 역 할을 다하고 진정성 있는 ESG경영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ESG 성과관리체계 기반 내재화 추진
신한금융그룹은 2015년 조직 내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 내 에 ESG를 관리, 감독하는 위원회로 ESG전략위원회를 신설해 ESG 경영 추진을 본격화했다. ESG전략위원회의 활동을 기반으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실행체 계 구축을 위해 2019년 모든 그룹사에 CSSO(Chief Strategy and Sustainability Officer)를 임명했다. ESG CSSO협의회 및 ESG실무 협의회를 신설했으며 2021년 그룹사 CEO가 참여하는 ‘ESG추진위 원회’를 출범했다. ESG전략위원회(이사회)에서 수립한 ESG전략을 전 그룹사에서 집 중 실행하는 Top-down 방식과 함께 ESG실무협의회에서 발굴하 고 논의한 추진 과제를 CSSO와 CEO가 협의하고 모니터링해 이사 회에 보고하는 Bottom-up 방식의 Two-Track 구동체계를 완성했 다. 이와 함께 ESG 활동으로 인한 사회적 가치 임팩트를 화폐화하 는 ‘신한 ESG Value Index’를 개발하여 ESG경영 성과를 모니터링 하고 미흡한 성과에 대해 개선활동을 추진하고 있다.
‘Zero Carbon Drive 선언’으로 탄소중립 선도
신한금융그룹은 2020년 금융자산 탄소중립 ‘제로 카본 드라이
브(Zero Carbon Drive)’를 선언하면서 금융사 기후변화 대응과 친
환경 금융 부문에서 선도적 입지를 다졌다. 제로 카본 드라이브는
2030년까지 친환경 금융 30조 원을 지원하고 2050년까지 그룹
의 자체 탄소배출량뿐만 아니라 그룹이 보유한 자산 포트폴리오
의 탄소배출량 또한 ‘제로’로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SBTi 방법론
을 활용해 2020년 대비 자체 사업장 탄소배출량은 2030년까지
42%, 금융자산의 탄소배출량은 2030년 33.7%, 2040년 59.5%
를 각각 감축하고 2050년에는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그리고 정확한 감축 성과 측정을 위해 국내 금융사 최초로
금융배출량 측정 시스템과 ESG 평가모형을 개발해 다각도로 ESG
를 비즈니스 프로세스에 접목하고 있다.
자체 탄소중립 활동도 활발히 추진하고 있다. ‘제로 카본, 제로 퓨얼
(Zero Carbon, Zero Fuel)’을 선언하고 2030년까지 업무용 차량 6만
3천여 대를 전기차 및 수소차 등의 무공해차로 100% 전환하겠다
는 방침을 세웠다. 특히 올해부터는 그룹 데이터센터의 사용 전력을
100% 재생에너지로 조달하는 ‘신한 디지털 RE100’을 추진 중이다.
재생에너지 공급 인증서(REC), 녹색프리미엄, 전력구매계약(PPA) 등
을 종합적으로 활용해 데이터센터의 전력 사용량을 충당하고, 그룹
전체의 20%에 상당하는 탄소배출량을 감축할 계획이다.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
신한금융그룹은 스타트업 생태계 구축, 금융 취약계층 지원, 청년 취업 지원, 교육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상생의 가치를 실천하고 있다. 스타트업 육성 플랫폼인 ‘신한 스퀘어브릿지’는 혁신기술 스타트업 을 육성하고 투자하여 글로벌 유니콘으로 성장을 도와 대한민국 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11,217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스타트업 610개사가 총 6,653억 원의 투 자를 유치하는 성과를 냈다. 이외에도 신한금융그룹은 사회적기업 금융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3개의 펀드를 운용하며 29개의 벤처 기업에 투자하는 등 임팩트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민·관 협력 사업으로 여성가족부와 돌봄활동도 진행하고 있다. ‘신 한 꿈도담터’는 지역 내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맞벌이 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안전한 양육 환경을 조성하고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하 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전국 총 154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올해 말 까지 200개소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사회적 가치 창출
신한금융그룹은 스타트업 생태계 구축, 금융 취약계층 지원, 청년 취업 지원, 교육 등 다양한 영역에서 상생의 가치를 실천하고 있다. 스타트업 육성 플랫폼인 ‘신한 스퀘어브릿지’는 혁신기술 스타트업 을 육성하고 투자하여 글로벌 유니콘으로 성장을 도와 대한민국 경제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고 있다. 현재까지 총 11,217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스타트업 610개사가 총 6,653억 원의 투 자를 유치하는 성과를 냈다. 이외에도 신한금융그룹은 사회적기업 금융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3개의 펀드를 운용하며 29개의 벤처 기업에 투자하는 등 임팩트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민·관 협력 사업으로 여성가족부와 돌봄활동도 진행하고 있다. ‘신 한 꿈도담터’는 지역 내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맞벌이 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안전한 양육 환경을 조성하고 여성의 경력단절을 예방하 는 역할을 하고 있다. 전국 총 154개소가 운영되고 있으며 올해 말 까지 200개소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회사소개
- 주요 생산품 :
- 금융지주회사업, 금융 관련 서비스업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세종대로9길 20
- 자본금 : 51조1,304억 원(2022년)
- 매출액 : : 61조8,768억 원(2022년)
- 종업원 수 : 29,708명
추진성과
구 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총자산(억 원) | 6,052,341 | 6,481,522 | 6,758,843 |
매출액(억 원) | 490,272 | 457,300 | 618,768 |
당기순이익(억 원) | 34,146 | 40,193 | 46,423 |
- 다우존스 지속가능지수(DJSI) World 편입(10년 연속)
- 탄소정보공개 프로젝트(CDP) Leadership 등급 획득(10년 연속) 및 명예의 전당 Platinum Club 수상
- MSCI ESG평가 AA등급 획득(7년 연속)
- 블룸버그 양성평등지수(BGEI) 편입(5년 연속)
- 한국ESG기준원 종합등급 A+획득(8년 연속)
- 서스틴베스트 AA등급 획득(4년 연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