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무총리표창
- 국가품질혁신상 서비스 부문
- 대전도시공사


정 국 영 사장
국가품질혁신상 서비스 부문 국무총리표창을 수상하게 되어 매
우 영광스럽습니다. 대전도시공사는 1993년 창립하여 ‘시민 행
복과 도시경쟁력을 선도하는 혁신공기업’을 비전으로 서비스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개발·재생사업, 주택공급, 오월드,
환경사업, 수소사업 등 다양한 영역에서 직원들이 서비스 경영
노력을 지속한 결과 서비스 품질혁신 기관에 선정될 수 있었습
니다. 서비스 경영활동에 협조해 주신 임직원 모두에게 이 영광
을 바칩니다. 특히 창립 30주년을 맞아 특별한 상을 받게 되어
더욱 뜻깊게 생각합니다. 앞으로도 미래를 준비하는 혁신경영,
시민행복을 추구하는 섬김경영, 다함께 성장하는 상생경영, 시
민과 근로자가 안심하는 안전경영을 통해 서비스 품질혁신활동
에 더욱 박차를 가하도록 하겠습니다.
대전도시공사는 CEO의 관심과 노력으로 서비스 혁신전략을 수립 하고 실천했다. CEO의 신경영방침인 혁신경영, 섬김경영, 상생경영, 안전경영을 수립해 시민행복과 지역상생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혁신·섬김·상생·안전경영
대전도시공사는 혁신경영을 실현하기 위해 체계적인 전략을 수립 하고 추진을 위한 기반과 서비스혁신 조직문화를 구축했다. 섬김경 영을 통해 시민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소통중심의 체계를 구축했 고 그 결과 외부고객 만족도가 2020년 84.2점에서 2022년 87.3점 으로 꾸준히 상승했다. 상생경영 방침을 수립하여 지역균형 발전 을 위한 인프라 조성, 지역경제 활성화에 노력했다. 지역소상공인, 청년창업기업, ESG 기업 220곳에 192.6억 원 대출을 지원했다. 또 한 대전에 부족한 산업단지 확충에 힘써 현재 32만 평을 조성하고 있고 2023년 3월에 확정된 대전 국가산업단지는 대전광역시 유성 구 교촌동 일원 530만㎡(160만 평) 부지에 들어설 예정이다. 나노· 반도체 산업과 신성장 산업인 항공우주, 도심교통항공 등 연관 산 업을 유치해 고부가가치 첨단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할 계획이다. 나 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개발을 통해 생산유발효과 6조2,000억 원, 고용창출효과 3만5,000명 등의 경제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안전경영을 통해 시민과 직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기업문화 를 정착시켰다. 바로바로 안전신고 119 모바일톡을 개설하고 서비 스혁신 전담조직을 구성하여 P-D-C-A(계획, 실행, 점검, 개선 과정 을 통해 조직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과정) 추진체계를 구축했다.
서비스 품질을 위한 체계적인 인적자원관리
대전도시공사는 CEO의 관심과 노력으로 서비스 혁신전략을 수립 하고 실천했다. CEO의 신경영방침인 혁신경영, 섬김경영, 상생경영, 안전경영을 수립해 시민행복과 지역상생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혁신·섬김·상생·안전경영
대전도시공사는 혁신경영을 실현하기 위해 체계적인 전략을 수립 하고 추진을 위한 기반과 서비스혁신 조직문화를 구축했다. 섬김경 영을 통해 시민 참여를 적극 유도하고 소통중심의 체계를 구축했 고 그 결과 외부고객 만족도가 2020년 84.2점에서 2022년 87.3점 으로 꾸준히 상승했다. 상생경영 방침을 수립하여 지역균형 발전 을 위한 인프라 조성, 지역경제 활성화에 노력했다. 지역소상공인, 청년창업기업, ESG 기업 220곳에 192.6억 원 대출을 지원했다. 또 한 대전에 부족한 산업단지 확충에 힘써 현재 32만 평을 조성하고 있고 2023년 3월에 확정된 대전 국가산업단지는 대전광역시 유성 구 교촌동 일원 530만㎡(160만 평) 부지에 들어설 예정이다. 나노· 반도체 산업과 신성장 산업인 항공우주, 도심교통항공 등 연관 산 업을 유치해 고부가가치 첨단산업 클러스터로 조성할 계획이다. 나 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개발을 통해 생산유발효과 6조2,000억 원, 고용창출효과 3만5,000명 등의 경제 파급효과가 기대된다. 안전경영을 통해 시민과 직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는 기업문화 를 정착시켰다. 바로바로 안전신고 119 모바일톡을 개설하고 서비 스혁신 전담조직을 구성하여 P-D-C-A(계획, 실행, 점검, 개선 과정 을 통해 조직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과정) 추진체계를 구축했다.
서비스 품질을 위한 체계적인 인적자원관리
대전도시공사는 서비스 인적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실천하고 있다. 직원 니즈를 반영하여 교육훈련 계획을 수립하고
그에 따른 교육을 추진했다. 또한 직원 의견을 반영하여 2022년
대전도시공사 서비스 혁신과제 30개를 발굴해 추진했다. 직원 복
지 증진 및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 ‘일가(家)양득 워라밸’ 제도를 운
영하기도 했다. 이 외에도 여성가족부 지침 기준의 5배 이상인 고
충상담원 11명을 지정하고 전문 교육을 지원하여 직원 고충처리에
힘썼다. 내부직원 만족도도 매년 실시하여 직원의 니즈를 파악하
고 업무환경 개선에 적극 반영하는 한편 예방→대비→대응→복구
의 체계적인 안전보건시스템을 구축하여 직원 중대재해 사고 0건
에 달하는 성과를 냈다.
더 높은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유연한 채용 및 인적자원제
도를 운영하고 직원의 자격즉 취득을 장려할 계획이다. 채용제도
의 유연성 확보, 채용만족도 조사, 여성관리자 확대 및 유연근무제
도 등을 활성화하고자 한다.
서비스 품질경영을 위한 개선활동 추진
대전도시공사는 서비스 품질경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다 양한 개선활동을 하고 있다. 서비스 혁신을 위한 방법론을 개발하 고 구체화하기 위해 ‘품질경영상 우수기업 기관협의회’의 혁신 기 업을 벤치마킹하여 서비스혁신 조직을 보강하고 서비스 품질을 조 사하는 다양한 방법론을 도입해 결과를 분석하고 개선하고자 한 다. 서비스혁신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해 새로운 서비스 지식을 발굴하고 성과지표를 고도화할 계획도 수립했다. 기존 등록된 지 식을 분석하고 분야별 지식도우미들이 협업하여 새로운 아이디어 를 창출하며 소통채널들의 시각화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 선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시민참여, 모니터링, 지역문제 해결 등 실 행목표에 대한 계량 및 비계량 성과지표의 목표를 명확하게 수립 하고 성과를 관리하고자 한다. 경영성과 개선을 위해 경쟁기업과의 상대적 수준을 비교하고 서 비스 품질평가도 도입한다. 수익성, 안정성 재무제표를 타 기업과 비교하여 결과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자 한다. 또한 대외 서비스 품질평가를 도입해 기업의 성장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자체 ‘ESSG경영(기존의 ESG경영에 안전safety 요소 가미)’을 적극 추진 하여 시민의 삶을 개선하고 행복을 실현하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 고자 한다
서비스 품질경영을 위한 개선활동 추진
대전도시공사는 서비스 품질경영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다 양한 개선활동을 하고 있다. 서비스 혁신을 위한 방법론을 개발하 고 구체화하기 위해 ‘품질경영상 우수기업 기관협의회’의 혁신 기 업을 벤치마킹하여 서비스혁신 조직을 보강하고 서비스 품질을 조 사하는 다양한 방법론을 도입해 결과를 분석하고 개선하고자 한 다. 서비스혁신 조직문화를 구축하기 위해 새로운 서비스 지식을 발굴하고 성과지표를 고도화할 계획도 수립했다. 기존 등록된 지 식을 분석하고 분야별 지식도우미들이 협업하여 새로운 아이디어 를 창출하며 소통채널들의 시각화를 통해 문제점을 도출하고 개 선하고자 한다. 이와 함께 시민참여, 모니터링, 지역문제 해결 등 실 행목표에 대한 계량 및 비계량 성과지표의 목표를 명확하게 수립 하고 성과를 관리하고자 한다. 경영성과 개선을 위해 경쟁기업과의 상대적 수준을 비교하고 서 비스 품질평가도 도입한다. 수익성, 안정성 재무제표를 타 기업과 비교하여 결과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고자 한다. 또한 대외 서비스 품질평가를 도입해 기업의 성장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 자체 ‘ESSG경영(기존의 ESG경영에 안전safety 요소 가미)’을 적극 추진 하여 시민의 삶을 개선하고 행복을 실현하는 사회적 책임을 다하 고자 한다

회사소개
- 소재지 : 대전광역시 중구 중앙로 118
- 자본금 : 2,369억 원(2022년)
- 매출액 : 3,834억 원(2023년 추정)
- 종업원 수 : 498명
- 주요 생산품 :
- 건설업, 부동산 및 임대업, 서비스
추진성과
구 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고객만족도(점) | 85.1 | 87.3 | - |
노동생산성(만 원) | 12,565 | 7,107 | 8,400 |
영업수익(억 원) | 4,550 | 2,534 | 3,834 |
- 2023 신공장 설립
- 2023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상호협력 양해각서 체결
- 2023 지역혁신클러스터육성사업 R&D 과제 선정
- 2023 소재·부품·장비 양산성능평가 지원사업 R&D 과제 선정
- 2023 구매조건부신제품개발사업 R&D 과제 선정
- 2022 ISO 14001 인증 취득(10년 연속)
- 2022 지역주력산업육성 R&D 과제 선정
- 2021 경영혁신형 중소기업 인증 취득
- 2021 IATF 16949 인증 취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