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은탑산업훈장
조 성 환현대모비스㈜ 대표이사
무결점 품질과 차별화된 기술경쟁력으로 고객 감동 실현

- - 2024 국제표준화기구(ISO) 회장
- - 2020 현대모비스 사장
- - 2019 현대모비스 연구개발본부 부사장
- - 2018 현대자동차 연구개발본부 부사장
- - 1995 스탠포드 대학 기계공학
이번 수상을 큰 영광으로 생각하며 전사 품질경영 실천과 이를
통한 고객가치 실현에 매진하고 있는 모든 임직원에게 수상의 영
광을 돌리고 싶습니다. 현대모비스는 글로벌 자동차 부품기업으
로서 전동화와 자율주행, 커넥티비티 등 미래 분야 사업 경쟁력
강화를 통해 모빌리티 기술 선도 기업의 위상을 강화하고 있습니
다. 치열한 글로벌시장 경쟁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해야 하며, 품질을 기반으로 한 신뢰 구축
이 그 핵심이라고 생각합니다. 현대모비스는 앞으로도 최상의 품
질과 안정적인 공급망 관리로 회사의 미래 가치를 높이고 이를 통
해 변함없는 고객감동을 실현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현대모비스 조성환 대표이사는 1994년 현대자동차 연구개발 부문에 입사한 이후 약 30년 동안 전문 기술 엔지니어이자 현대차 그룹사의 리더로서 자동차 제조업의 발전에 이바지했다. 품질, 기술, 혁신, 환경 경영 등 다양한 분야의 깊은 학식을 바탕으로 전문성과 리더십을 두 루 갖춘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능력은 글로벌 무대에서도 인 정받아 2022년 9월 국제표준화기구(ISO) 선거에서 한국인 최초로 ISO 회장에 당선되었으며, 2024년부터 2년 동안 ISO 회장직을 수행 할 예정이다. 조 대표이사는 선도적인 기술경쟁력과 차별화된 제품 전략, 고객 요구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바탕으로 현대모비스가 글로 벌 자동차 부품업계 최고의 위치를 차지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고객 신뢰 기반은 ‘엄격한 품질’… 타협은 없다
글로벌 자동차산업은 기계 및 구동장치 중심에서 자율주행, 커넥 티비티 그리고 전동화를 중심으로 하는 미래 모빌리티산업으로의 전환 속도를 가속화하고 있다. 미래 모빌리티산업은 더 이상 완성 차 중심의 수직적인 생태계가 아니며 완성차뿐만 아니라 부품 업 체, 전자 및 화학 회사, 빅테크 기업, 통신사 등 다양한 플레이어들 이 주도권을 확보해 나가기 위하여 경쟁 및 협력하는 분야이다. 이 런 변화 속에서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현대모비스는 품질경영에 초점을 맞추었다. 2002년 국내 최초 자동차산업 품질 경영시스템 표준인 ISO/TS 16949 인증 획득을 시작으로 현재 국 내외 모든 사업장(국내 36곳, 해외 17곳) 모두 품질인증을 획득하 며 프로세스 기반의 무결점 품질경영을 실현하고 있다.
AI 데이터 기반 품질관리 및 전문인력 육성
현대모비스는 엄격한 품질관리를 위해 데이터와 AI 기술을 융합한 데이터 기반 품질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2022년 전기차 PE시 스템을 대상으로 NVH(소음, 진동, 이음)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 자를 파악하고 해당 솔루션을 적용한 샘플 기반 유효성 검증을 완 료했다. 또한 통계, 머신러닝, 딥러닝 등 다양한 기술들을 활용해 현 대모비스 및 주요 부품 협력사들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화된 AI 모델을 개발해 관리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글로벌 수주 확대와 미래 자동차 기술 변화에 선제 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품질 분야 내부 전문가 양성 또한 적극 지원하고 있다. 국제신뢰성기사(CRE), 국제품질기사(CQE) 등 자격 취득을 지원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뢰성 공학을 제품개발 프로세 스에 적용해 나가고 있다.
고품질·고부가가치 제품 기반 글로벌사업 확장
현대모비스의 엄격한 품질관리와 고객 신뢰 확보 노력은 글로벌 수주 확대라는 성과로 연결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글로벌 프리 미엄 자동차 브랜드인 벤츠의 전기차 전용 모델에 적용될 샤시 모 듈을 성공적으로 수주하였으며, 최근에는 유럽의 주요 완성차 브 랜드인 폭스바겐의 배터리 시스템의 대규모 수주에도 성공했다. 특히 전동화 분야에서는 2013년부터 시작하여 10년 이상에 걸친 친환경차 부품 전용 공장을 운영하며 얻은 전동화 핵심부품 양산 노하우와 품질경쟁력을 바탕으로 우수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앞으로도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술과 제품경쟁력을 조기에 확보하여 글로벌시장을 공략할 방침이다. 미래 모빌리티 선 도기업으로서 글로벌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신규 시장 개척 을 통해 글로벌사업을 지속해서 확장하고자 한다.
현대모비스 조성환 대표이사는 1994년 현대자동차 연구개발 부문에 입사한 이후 약 30년 동안 전문 기술 엔지니어이자 현대차 그룹사의 리더로서 자동차 제조업의 발전에 이바지했다. 품질, 기술, 혁신, 환경 경영 등 다양한 분야의 깊은 학식을 바탕으로 전문성과 리더십을 두 루 갖춘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이러한 능력은 글로벌 무대에서도 인 정받아 2022년 9월 국제표준화기구(ISO) 선거에서 한국인 최초로 ISO 회장에 당선되었으며, 2024년부터 2년 동안 ISO 회장직을 수행 할 예정이다. 조 대표이사는 선도적인 기술경쟁력과 차별화된 제품 전략, 고객 요구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바탕으로 현대모비스가 글로 벌 자동차 부품업계 최고의 위치를 차지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추진성과
구 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매출액(억 원) | 366,265 | 417,022 | 519,063 |
영업이익(억 원) | 18,303 | 20,401 | 20,265 |
당기순이익(억 원) | 15,543 | 23,625 | 24,872 |
고객 신뢰 기반은 ‘엄격한 품질’… 타협은 없다
글로벌 자동차산업은 기계 및 구동장치 중심에서 자율주행, 커넥 티비티 그리고 전동화를 중심으로 하는 미래 모빌리티산업으로의 전환 속도를 가속화하고 있다. 미래 모빌리티산업은 더 이상 완성 차 중심의 수직적인 생태계가 아니며 완성차뿐만 아니라 부품 업 체, 전자 및 화학 회사, 빅테크 기업, 통신사 등 다양한 플레이어들 이 주도권을 확보해 나가기 위하여 경쟁 및 협력하는 분야이다. 이 런 변화 속에서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제공하기 위해 현대모비스는 품질경영에 초점을 맞추었다. 2002년 국내 최초 자동차산업 품질 경영시스템 표준인 ISO/TS 16949 인증 획득을 시작으로 현재 국 내외 모든 사업장(국내 36곳, 해외 17곳) 모두 품질인증을 획득하 며 프로세스 기반의 무결점 품질경영을 실현하고 있다.
AI 데이터 기반 품질관리 및 전문인력 육성
현대모비스는 엄격한 품질관리를 위해 데이터와 AI 기술을 융합한 데이터 기반 품질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2022년 전기차 PE시 스템을 대상으로 NVH(소음, 진동, 이음)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 자를 파악하고 해당 솔루션을 적용한 샘플 기반 유효성 검증을 완 료했다. 또한 통계, 머신러닝, 딥러닝 등 다양한 기술들을 활용해 현 대모비스 및 주요 부품 협력사들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최적화된 AI 모델을 개발해 관리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글로벌 수주 확대와 미래 자동차 기술 변화에 선제 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품질 분야 내부 전문가 양성 또한 적극 지원하고 있다. 국제신뢰성기사(CRE), 국제품질기사(CQE) 등 자격 취득을 지원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뢰성 공학을 제품개발 프로세 스에 적용해 나가고 있다.
고품질·고부가가치 제품 기반 글로벌사업 확장
현대모비스의 엄격한 품질관리와 고객 신뢰 확보 노력은 글로벌 수주 확대라는 성과로 연결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글로벌 프리 미엄 자동차 브랜드인 벤츠의 전기차 전용 모델에 적용될 샤시 모 듈을 성공적으로 수주하였으며, 최근에는 유럽의 주요 완성차 브 랜드인 폭스바겐의 배터리 시스템의 대규모 수주에도 성공했다. 특히 전동화 분야에서는 2013년부터 시작하여 10년 이상에 걸친 친환경차 부품 전용 공장을 운영하며 얻은 전동화 핵심부품 양산 노하우와 품질경쟁력을 바탕으로 우수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앞으로도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술과 제품경쟁력을 조기에 확보하여 글로벌시장을 공략할 방침이다. 미래 모빌리티 선 도기업으로서 글로벌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신규 시장 개척 을 통해 글로벌사업을 지속해서 확장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