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품질경쟁력우수기업
- 기계 분야 17회 선정
- ㈜귀뚜라미 범양냉방

이영수대표이사 부회장

귀뚜라미 범양냉방은 17년 연속 품질경쟁력우수기업에 선정되는 큰 성과를 달성했습니다. 이러한 성과를 낼 수 있었던 것은 품질혁신을 첫 번째 과제로 선정해 최첨단 설비와 연구개발에 투자하고 인적자원의 효율화와 생산성 향상을 통해 원가절감을 실현했기 때문입니다. 우수한 품질은 곧 고객만족으로 이어진다는 신념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품질혁신, 고효율 친환경 기술력을 통해 냉동공조 분야에서 최고의 기업으로 도약하고자 합니다. 앞으로도 장기적인 미래 먹거리를 창출하기 위한 R&D 부문의 기술로, 전 세계에 대한민국 냉난방 공조산업의 위상을 드높이겠습니다.
세계적인 기술력으로 냉동공조 분야 솔루션 제시
귀뚜라미 범양냉방은 국내 최초의 에어컨 생산업체로서 냉동공조기 한 분야에 집중해 고객이 요구하는 다양한 제품과 여러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해외 여러 국가와의 기술제휴로 선진기술을 축적하고, 안정된 시장기반을 통해 냉동공조 분야 선도업체로서 꾸준히 성장해 가고 있으며, 수출지역 다변화 및 직수출 강화를 위한 다양한 개척활동을 통한 네트워크도 자랑한다. 전 세계로 진출하면서 주요 해외 발주처 벤더 등록을 추진하는 등 지속적으로 해외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을 위한 노력으로 최첨단의 시험장비를 갖추고 설계부터 시운전까지 각종 데이터를 작성 및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빅데이터를 축적했다. 그 결과 KS 인증, Q 마크, CE 마크, 고효율 기자재 인증 및 ISO 9001, ISO 14001, ISO 45001 인증, CTI 인증, AMCA 인증 등을 잇달아 획득했으며 냉난방 전문기업으로 우뚝 서고 있다.
또한, 세계 최대 규모의 3500CRT급 냉각탑 실험실을 구축하는 것을 포함해 아낌없는 R&D 시설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각종 국책 연구과제 수행 및 상용화 개발 성공, 국내 최초 AMCA Seal 획득 및 고효율 제품인증, 증기히트펌프 개발 등 회사의 발전 및 국가경쟁력 향상, 저탄소 녹색성장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산업포장(냉난방공조산업 발전유공)’을 수상하기도 했다.
앞으로도 귀뚜라미 범양냉방은 소비자를 먼저 생각하는 품질경쟁력을 바탕으로 냉난방시장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계속 달릴 것이며, 향후 제품 신뢰성 향상 및 글로벌 표준화 추진에 의한 생산 제품의 국제경쟁력 강화 육성을 지속하고, ESG경영을 통한 탄소중립 실현과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다.
세계적인 기술력으로 냉동공조 분야 솔루션 제시
귀뚜라미 범양냉방은 국내 최초의 에어컨 생산업체로서 냉동공조기 한 분야에 집중해 고객이 요구하는 다양한 제품과 여러 분야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다.
해외 여러 국가와의 기술제휴로 선진기술을 축적하고, 안정된 시장기반을 통해 냉동공조 분야 선도업체로서 꾸준히 성장해 가고 있으며, 수출지역 다변화 및 직수출 강화를 위한 다양한 개척활동을 통한 네트워크도 자랑한다. 전 세계로 진출하면서 주요 해외 발주처 벤더 등록을 추진하는 등 지속적으로 해외 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다.
기술개발 및 품질향상을 위한 노력으로 최첨단의 시험장비를 갖추고 설계부터 시운전까지 각종 데이터를 작성 및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빅데이터를 축적했다. 그 결과 KS 인증, Q 마크, CE 마크, 고효율 기자재 인증 및 ISO 9001, ISO 14001, ISO 45001 인증, CTI 인증, AMCA 인증 등을 잇달아 획득했으며 냉난방 전문기업으로 우뚝 서고 있다.
또한, 세계 최대 규모의 3500CRT급 냉각탑 실험실을 구축하는 것을 포함해 아낌없는 R&D 시설투자를 진행하고 있으며 각종 국책 연구과제 수행 및 상용화 개발 성공, 국내 최초 AMCA Seal 획득 및 고효율 제품인증, 증기히트펌프 개발 등 회사의 발전 및 국가경쟁력 향상, 저탄소 녹색성장에 이바지한 공로를 인정받아 ‘산업포장(냉난방공조산업 발전유공)’을 수상하기도 했다.
앞으로도 귀뚜라미 범양냉방은 소비자를 먼저 생각하는 품질경쟁력을 바탕으로 냉난방시장을 선도하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계속 달릴 것이며, 향후 제품 신뢰성 향상 및 글로벌 표준화 추진에 의한 생산 제품의 국제경쟁력 강화 육성을 지속하고, ESG경영을 통한 탄소중립 실현과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