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국무총리표창
- 국가품질특별상 지속가능경영상 국무총리표창
- 한미약품㈜


박재현대표이사
한미약품이 국가품질특별상 지속가능경영상 국무총리표창을
수상하게 되어 영광입니다. 한미약품은 2024년 지속가능한 미
래를 다짐하며 ‘힘차게 도약하는 한미, 함께하는 미래’라는 슬
로건을 발표했습니다. 한미약품은 R&D 중심의 대한민국 대표
제약회사로서 글로벌 신약개발을 통한 인류의 건강은 물론 사
회적 책임을 다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견실한 경영 실적과
기업 가치 극대화를 이룩하는 것이 이해관계자분들의 아낌없
는 성원과 신뢰에 보답하는 유일한 길임을 깊이 새기며, 비만
대사, 항암, 희귀질환 등 글로벌에서 인정받는 혁신 신약을 개
발해 질병으로부터 자유로운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 나갈
것입니다. 앞으로도 한미약품은 더 나은 세상을 위해 적극적이
며 진취적인 ESG경영을 선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 대표 R&D 중심 제약바이오 기업
1973년 약사 임성기 회장이 창립한 한미약품은 ‘인간존중’과 ‘가치 창조’를 경영이념으로 삼고, 끊임없는 R&D와 도전정신을 기반으 로 혁신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R&D 중심 제 약바이오 기업으로서 인류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데 기여하고, 제 약산업이 당면한 다양한 문제에 대해 해결안을 제시할 수 있는 대 한민국 제약산업의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2016년부터는 선두적으로 ESG경영을 도입하여 국내 제약산업의 ESG경영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ESG경영 의사결정 구조 구축
한미약품은 지속가능한 성장과 경영을 위해 2016년 ESG 전담조직 을 신설해 운영하고 있다. ESG 전담조직인 ESG 그룹은 ESG 전략 및 계획 수립은 물론 대외 커뮤니케이션, ESG 이슈 및 현황 분석 등 전반적인 ESG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2017년 대표이사 산하 CSR(사회적 책임) 위원회를 대한민국 제약산업 최초로 신설하여, 환경, 사회책임, 책임경영 등 당사의 지속가능경영 전반의 주요 정 책을 검토하는 등 한미약품의 ESG 컨트롤타워로서 역할을 다하고 있으며 2018년 국내 제약업체 최초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 했다.
이 밖에도 한미약품은 국내외 환경 관련 정책과 비즈니스 환경의변화를 기반으로 탄소중립과 기후변화 대응을 지속가능경영의 중 요한 아젠다로 편입해 운영하고 있다. 탄소중립을 위해 h-Carbon Program, 2030 NDC, 2040 Net Zero를 전략으로 수립하고 환경 영향 최소화를 위해 환경관리 효율화, 친환경 문화 확산, 자원순환 확대, 생물다양성 보전을 전략 과제로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의학적 미충족 수요 높은 분야의 혁신 창출 위한 R&D 전략 수립 및 실행
인간존중, 가치창조는 한미약품의 경영이념이자 철학이다. 이런 경 영철학에 따라 희귀질환으로 고통받는 전 세계 환자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혁신적인 신약 개발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2024년 GC 녹십자와 공동 연구 중인 파브리병 혁신 신약 ‘LA-GLA(HM15421/ GC1134A)’가 미국 FDA에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됨에 따라 한미 약품은 총 7개 파이프라인에서 11가지 적응증으로 총 21건(미국 FDA 10건, 유럽의약품청(EMA) 8건,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3건)의 희귀의약품 지정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국내 제약업계 중 가 장 많은 수치이다. 특히 희귀질환 중 하나인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은 2만 5,000~5만 명당 1명꼴로 발병하는 희귀질환이다. 한미약품 은 기존 치료 방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세계 최초 주 1회 투 여 재형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처럼 한미약품은 다양한 분야에서 희귀질환으로 고통받는 전 세계 환자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희귀 의약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전부 장관상’ 수상, 7년 연속 안전사고 10% 이상 감소, 공단 설립(2014년) 이 래 중대재해 ‘ZERO’ 유지 등 안전관리를 강화했다.
그룹사 ESG경영 확산 통한 사업 전 영역 Value-up
한미약품은 사업 전 영역의 Value-up을 목적으로 ESG경영 확산 및 고도화 정책을 펼쳐나가고 있다. 2023년 한미약품은 한미그룹 사 전반으로 ESG경영을 확산하기 위해 ESG 점검 플랫폼을 자체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ESG 점검 플랫폼은 환경, 안전보건, 인권 등의 ESG 핵심 항목을 중심으로 제약바이오산업의 특성과 국내외 가이드라인을 반영해 만들어진 프로세스로, ESG 리스크 식별-평 가-개선-모니터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미약품은 2023년 그룹사 ESG 확산의 첫걸음으로 자체 개발한 ESG 점검 플랫폼을 활용해 한미그룹 계열사인 JVM(약품 조제 및 약품 관리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의료기기 전문기업)을 대상으 로 ESG 점검을 실시하여 잠재적 리스크 식별 및 단계별 개선 계획 을 수립하였다. 향후 개선 이행 현황 점검 등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ESG경영의 정착 및 고도화를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한미약 품은 그룹 내 전 계열사를 대상으로 ESG 지원 정책을 확대해 대한 민국 헬스케어 산업의 선도적인 역할을 이행할 것이다.
대한민국 대표 R&D 중심 제약바이오 기업
1973년 약사 임성기 회장이 창립한 한미약품은 ‘인간존중’과 ‘가치 창조’를 경영이념으로 삼고, 끊임없는 R&D와 도전정신을 기반으 로 혁신을 향해 나아가고 있다.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R&D 중심 제 약바이오 기업으로서 인류의 건강과 생명을 지키는데 기여하고, 제 약산업이 당면한 다양한 문제에 대해 해결안을 제시할 수 있는 대 한민국 제약산업의 선도기업으로 자리매김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2016년부터는 선두적으로 ESG경영을 도입하여 국내 제약산업의 ESG경영 확산에 기여하고 있다.
ESG경영 의사결정 구조 구축
한미약품은 지속가능한 성장과 경영을 위해 2016년 ESG 전담조직 을 신설해 운영하고 있다. ESG 전담조직인 ESG 그룹은 ESG 전략 및 계획 수립은 물론 대외 커뮤니케이션, ESG 이슈 및 현황 분석 등 전반적인 ESG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 또한 2017년 대표이사 산하 CSR(사회적 책임) 위원회를 대한민국 제약산업 최초로 신설하여, 환경, 사회책임, 책임경영 등 당사의 지속가능경영 전반의 주요 정 책을 검토하는 등 한미약품의 ESG 컨트롤타워로서 역할을 다하고 있으며 2018년 국내 제약업체 최초로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 했다.
이 밖에도 한미약품은 국내외 환경 관련 정책과 비즈니스 환경의변화를 기반으로 탄소중립과 기후변화 대응을 지속가능경영의 중 요한 아젠다로 편입해 운영하고 있다. 탄소중립을 위해 h-Carbon Program, 2030 NDC, 2040 Net Zero를 전략으로 수립하고 환경 영향 최소화를 위해 환경관리 효율화, 친환경 문화 확산, 자원순환 확대, 생물다양성 보전을 전략 과제로 수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의학적 미충족 수요 높은 분야의 혁신 창출 위한 R&D 전략 수립 및 실행
인간존중, 가치창조는 한미약품의 경영이념이자 철학이다. 이런 경 영철학에 따라 희귀질환으로 고통받는 전 세계 환자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혁신적인 신약 개발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 2024년 GC 녹십자와 공동 연구 중인 파브리병 혁신 신약 ‘LA-GLA(HM15421/ GC1134A)’가 미국 FDA에서 희귀의약품으로 지정됨에 따라 한미 약품은 총 7개 파이프라인에서 11가지 적응증으로 총 21건(미국 FDA 10건, 유럽의약품청(EMA) 8건,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 3건)의 희귀의약품 지정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이는 국내 제약업계 중 가 장 많은 수치이다. 특히 희귀질환 중 하나인 선천성 고인슐린혈증 은 2만 5,000~5만 명당 1명꼴로 발병하는 희귀질환이다. 한미약품 은 기존 치료 방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세계 최초 주 1회 투 여 재형으로 개발하고 있다. 이처럼 한미약품은 다양한 분야에서 희귀질환으로 고통받는 전 세계 환자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희귀 의약품을 개발할 수 있도록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전부 장관상’ 수상, 7년 연속 안전사고 10% 이상 감소, 공단 설립(2014년) 이 래 중대재해 ‘ZERO’ 유지 등 안전관리를 강화했다.
그룹사 ESG경영 확산 통한 사업 전 영역 Value-up
한미약품은 사업 전 영역의 Value-up을 목적으로 ESG경영 확산 및 고도화 정책을 펼쳐나가고 있다. 2023년 한미약품은 한미그룹 사 전반으로 ESG경영을 확산하기 위해 ESG 점검 플랫폼을 자체 개발하여 운영하고 있다. ESG 점검 플랫폼은 환경, 안전보건, 인권 등의 ESG 핵심 항목을 중심으로 제약바이오산업의 특성과 국내외 가이드라인을 반영해 만들어진 프로세스로, ESG 리스크 식별-평 가-개선-모니터링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미약품은 2023년 그룹사 ESG 확산의 첫걸음으로 자체 개발한 ESG 점검 플랫폼을 활용해 한미그룹 계열사인 JVM(약품 조제 및 약품 관리 자동화 솔루션을 제공하는 의료기기 전문기업)을 대상으 로 ESG 점검을 실시하여 잠재적 리스크 식별 및 단계별 개선 계획 을 수립하였다. 향후 개선 이행 현황 점검 등 정기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ESG경영의 정착 및 고도화를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한미약 품은 그룹 내 전 계열사를 대상으로 ESG 지원 정책을 확대해 대한 민국 헬스케어 산업의 선도적인 역할을 이행할 것이다.

회사소개
- 소재지 :
- 본사 :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 14
- 팔탄 스마트플랜트 : 경기도 화성시 팔탄면 무하로 214
- 평택 바이오플랜트 :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추팔산단로 114
- R&D 센터 : 경기도 화성시 동탄기흥로 550 - 자본금 : 1조 1,002억 원(2023년)
- 매출액 : 1조 4,909억 원(2023년)
- 종업원 수 : 2,399명
- 주요 생산품 : 전문〮일반의약품,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 등
추진성과
추진성과
| 구 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 매출액(억 원) | 12,031.9 | 13,315.5 | 14,908.9 |
| R&D 투자금액(억 원) | 1,615.3 | 1,779.4 | 2,050.3 |
| R&D 인력(명) | 550 | 584 | 637 |
| 자체 생산율(%) | 93.5 | 96.0 | 96.2 |
- 2024 제23회 공정거래의 날 공정거래위원장 표창 수상
- 2023 대한민국 지속가능성대회 제약부분 4년 연속 1위 선정
- 2023 공정거래위원회 CP등급 AAA 5년 유지


